항목
-
-
형용사 그림씨, 形容詞용언에 속하면서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상태·존재를 표현하는 품사. 그림씨 내용 의미상의 관점에서는 관형사와 비슷하나 활용의 유무에 의하여 구별되며, 기능적 관점에서 동사와 비슷하나 의미상·분포상·형태상의 차이에 따라 구별된다. 국어의 형용사는 단독으로도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be동사의 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우리말본임자씨 ○○으뜸씨 ○ 씨 ○○생각씨 ○ ○○풀이씨 ○ ○○꾸밈씨 ○ ○○걸림씨(토씨) 로 하고, 다시 임자씨를 이름씨 · 대이름씨 · 셈씨로, 풀이씨를 그림씨 · 움직씨 · 잡음씨로, 그리고 꾸밈씨를 매김씨 · 어찌씨 · 느낌씨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최현배는 우리말의 씨를 열 가지로 잡고 있다. 주시경 체계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우리옛말본형태소를 설명하고 있다. 그 밖에 통어적 구성과 형태적 구성, 월성분, 씨의 분류(이름씨·대이름씨·셈씨·매김씨·어찌씨·이음씨·느낌씨·움직씨·그림씨·잡음씨·토씨 등 11가지), 15세기 형태론의 전제가 되는 그 당시의 음운학의 대강 및 표기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조어론>은 조어론과 인접부문과의 관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허웅(許雄)
- 창작/발표시기 :
- 1975년
- 성격 :
- 문법서, 국어문법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샘문화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표준중등말본 중등 우리 말본법칙, 우리말 짜임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인 음운론 정보와 형태론과 통사론의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씨의 풀이”는 ‘이름씨, 움직씨, 그림씨, 매김씨, 어찌씨, 느낌씨, 토씨, 씨와 조각의 관계’로 구성되어, 7품사와 그들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름씨는 넓은 의미의 것으로 하위 부류로 다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정인승
- 창작/발표시기 :
- 1949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아문각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