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국기무처 軍國機務處
    갑오개혁을 추진한 중추기관.|일체의 개혁법안을 심의·의결했다. 동학농민혁명에서 패배를 거듭하던 조선정부는 1894년 6월 10일(음력 5. 7)에 농민군의 폐정개혁에 관한 요구를 받아들이고 전주화약을 맺었다. 그리고 청·일 양국군의 철병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에 출병한 일본군을 조선에 남겨두기 위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군국기무처 (동의어 군국 기무처) 軍國機務處
    군국기무처는 조선 말기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던 최고 정책결정 기관이다. 1894년 6월 21일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면서 친일파 정권이 수립되자 제도개혁과 신정권 탄생에 따른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합의체 형식으로 구성된 초정부적 입법·정책결정기구로서 최고집권자의 회의체 기능을 수행했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근대사
  • 군국기무처 軍国機務処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는 1894년 1차 갑오개혁 때 만들어진 관청이다. 1894년에 제1차 동학농민전쟁을 통하여 전주화약을 맺은 조선정부는 교정청을 설치하여 자주 개혁을 하려고 했으나, 일본 제국이 경복궁 쿠데타로 교정청을 혁파하여 조선의 노력은 실패하였다. 이후 일본의 영향으로 만든 관청이 군국기무처이다. ...
    도서 위키백과
  • 군국기무처의안 軍國機務處議案
    개혁 내지 현안 해결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 중에는 신분제의 철폐나 과거제의 폐지 등 전통적인 사회제도 개혁안이 있는가 하면, 정치·행정제도 특히 군국기무처 자체의 조직과 운영 및 대외관계의 개혁, 그리고 동학 ‘비도(匪徒)’에 대한 대책 등을 다룬 정치적 성격의 개혁 내지 건의안도 많다. 규장각도서에 소장...
    시대 :
    근대
    저작자 :
    군국기무처
    창작/발표시기 :
    1894년 7월 27일∼1894년 12월 17일
    성격 :
    정책서, 관문서, 의안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10점(의안)
    간행/발행 :
    군국기무처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통리아문 기무처, 統理衙門
    내용 통칭 외무아문이라 하였다. 개국 이후 군국기무(軍國機務)와 외교통상문제를 총령하기 위하여 1880년 말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은 임오군란으로 폐지되었다가 대원군 구수(拘囚) 후에 기무처(機務處)를 설치하였는데 이를 내외 아문으로 확대, 개편하여 먼저 외교일체의 사무를 판리(辦理)하기...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2년(고종 19) 11월 17일
    폐지일 :
    1882년(고종 19) 12월 4일
    분야 :
    역사/근대사
  • 통리군국사무아문 統理軍國事務衙門
    의해 외교와 내정 업무를 분리·전담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1월 내정 일체를 담당할 통리내무아문이 외교 일체의 사무를 보기 위한 통리아문과 함께 기무처에서 분설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통리아문이 외아문인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통리내무아문은 내아문인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통리군국사무아문 내아문, 統理軍國事務衙門
    6월 임오군란으로 잠시 폐지되었다가 대원군이 청나라에 잡혀간 뒤 그 해 7월에 기무처라는 잠정조처로 부활의 길을 밟아 11월에 확대, 개편되었다. 먼저 통리...아문으로 분리하였다. 같은해 12월 4일에는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하여 7사(司)를 분치(分置)하고, 통리아문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2년(고종 19) 12월
    폐지일 :
    1884년(고종 21) 10월 21일
    분야 :
    역사/근대사
  • 갑오개혁 갑오경장, 甲午改革
    7월 23일에는 일본군이 궁중에 난입하여, 친청(親淸) 민씨정권을 타도하고 흥선대원군을 영입하여 신정권을 수립하였다. 그 뒤 7월 27일 개혁추진기구로서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가 설치되고, 영의정 김홍집(金弘集)이 회의총재(會議總裁)에, 그리고 박정양(朴定陽) · 김윤식(金允植) · 조희연(趙羲淵) · 김가진...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갑오개혁 甲午改革
    타도하고 흥선 대원군을 다시 영입하는 한편, 김홍집(金弘集) 등 개화파 인사들로 신내각을 구성하게 하였다. 이어 7월 27일에는 내정개혁 추진기구로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여기에는 회의총재(會議總裁) 김홍집을 비롯한 박정양(朴定陽)·김윤식(金允植)·유길준(兪吉濬) 등 주로 개화파 인사들로 구성된 1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장정존안 경장장정존안, 章程存案
    내용 1책 54장. 표제는 『경장장정존안(更張章程存案)』으로 되어 있다. 군국기무처에서 1894년 6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의결한 약 210건의 사항 가운데 20건의 장정·규칙·조례 등을 별도로 모아 둔 것이다. 이 책에는 6월 26일부터 7월 19일까지의 장정 등이 의결일자별로 수록되어 있어 새로운 정부 기구안을...
    시대 :
    근대/개항기
    저작자 :
    군국기무처
    창작/발표시기 :
    1894년(고종 31)
    성격 :
    법제서, 존안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54장
    간행/발행 :
    군국기무처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김홍집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의 수습을 위해 총리교섭통상사무에 임명되었고, 7월 군국기무처가 신설되자 영의정 겸 군국기무처총재관에 임명되어 내정개혁을 추진했다. 12월 군국기무처가 해체될 때까지 총리대신으로 제1차 갑오개혁을 주도하면서 과거제 폐지, 은본위제의 신식화폐제도 채택, 의정부와 궁내부의 관제 시행, 도량형제도의 채택...
    출생 :
    1842(헌종 8)
    사망 :
    1896(고종 33)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경주(慶州)
    시호 :
    충헌(忠獻)
    자 :
    경능(敬能)
    호 :
    도원(道園)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의정존안 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 議政存案
    서지적 사항 1책 41장. 필사본. 표제는 『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으로 되어 있다. 군국기무처에서 1894년 6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의결한 약 210건의 사항 가운데 약 190건의 의결사항을 일지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내용 의정된 의안은 계품(啓禀)되어 계하본(啓下本)으로 처리되고, 의안이 업는 회의일에는...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94년
    성격 :
    법제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군국기무소/조석진
군국기무처의 관제개혁에 관한 관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