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君)은 고려와 조선시대의 종실·외척·공신에게 주었던 작호(爵號)이다. 고려시대의 봉군제(封君制)는 종실제군(宗室諸君)과 이성제군(異姓諸君)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봉군제를 사용하다가 1417년에 이성제군부를 공신제군부(功臣諸君府)로 개칭하면서 외척봉군을 폐지하였다. 1430년에 재내제군부...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내용 계통상으로는 도의 아래, 읍 또는 면의 위에 해당한다. 역사적으로는 우리 지방행정구역 중 가장 오랜 지방행정단위로, 고구려시대에는 홀(忽) · 파의(巴衣) · 내노(內奴) · 세홀차(世忽次) · · 현, 신라시대에는 성(城) · 촌(村) · · 현, 고려시대에는 목 · · ...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의 하나.|광역지방자치단체인 도의 아래, 읍·면의 위에 해당하는 기초단체이다. 중국의 주(周)나라에서 비롯된 군제는 중국의 한(漢)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그곳에 한사군을 설치하면서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지방행정단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구려시대의 홀·파의·내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임금, 주권자(主權者). 세자(世子). 왕비. 부모. 지아비.|고대 제왕을 ‘군주(君主)’라 통칭했는데, 분석해보면 이 두 글자에는 구별이 있다. ‘(君)’은 통치 위주이고 ‘주(主)’는 관리 위주이다. (君)은 통치의 뜻이 있어, 명령을 내리거나 신상필벌(信賞必罰)의 대권을 장악(掌握)하여 만민(萬民)의 위에 군...
    유형 :
    여러 가지 호칭
  • 고려와 조선시대 종실·외척·공신에게 주던 작호(爵號).|고려 초기에 종실(宗室)의 경우 태자·원군·대군이 있었는데, 1298년(충렬왕 24) 관제개혁 때 왕자와 그 자손을 합쳐 혈연의 가깝고 먼 것에 따라 작호와 품계를 내려 부원대군(府院大君)·대군·원군은 정1품, 제군 종1품, 원윤(元尹) 정2품, 정윤 종2품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GR, group
    집합 G의 위에 하나의 연산이 정의되어 있고, 다음의 3조건을 충족할 때, 대수계 G를 이라 한다. ① 결합법칙: 임의의 x, y, z∈G에 대하여, x(yz)=(xy)z ② 단위원소(identity element, unit element)의 존재: 임의의 x∈G에 대하여, ex=xe=x가 되는 단위원소 e∈G가 존재한다. ③ 역원소의 존재: 임의의 x∈G에 대하...
    분야 :
    수학
  • 본 뜻 (君) 칭호는 서자 출신의 왕자나 가까운 종친, 공로가 있는 신하에게 주는 작위이다. 고려시대에는 종1품, 조선시대에는 정1품에서 종2품까지였다. 한편 적자 출신의 왕자는 대군(大君)이라고 불렀다. 또 왕위에 있다가도 쫓겨나게 되면 으로 강칭되었는데, 연산군(燕山君) · 광해군(光海君) 등이 그 예이다....
    유형 :
    한자어
  • 무리, 떼, 동아리, 동료(同僚).|군계일학(群鷄一鶴) : 많은 닭 가운데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 홀로 빼어남을 이르는 말. 군기(群起) : 한꺼번에 떼 지어 일어남. 봉기(蜂起). 군도(群盜) : 무리진 도둑. 도둑의 집단. 군려(群黎) : 많은 백성. 만민(萬民). 검수(黔首). 군웅할거(群雄割據) : 많은...
    유형 :
    무리나 집단에 관련된 한자
  • 群, group
    반송식 다중 또는 시분할식 다중 통신에서 수 개의 음성 통신로를 주파수 또는 시간축에 모아서 하나의 통신로을 만들 때의 한 묶음. 이 한 묶음의 통신로을 1군으로 하여 다시 다수의 동일 통신로 묶음을 모아서 또 다른 통신로의 열을 만든다. 반송식 다중 통신 방식에서는 4kHz대의 음성 주파수를 12통신로(4kH...
  • 치마
    저고리와 함께 입는 여자의 하의(下衣).|내용 옛 문헌에는 상(裳) 또는 (裙)으로 표현되어왔는데,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빈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만록 閑中漫錄≫에 ‘문단(文緞)치마’가 있어, 이를 치마라 일컬어왔음을 알게 된다. 또한, ≪훈몽자회≫에서 보면, 호(鋒)를 ‘쵸마호’, 상을 ‘...
    성격 :
    의복, 한복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상고 시대부터 여인이 입던 치마이다. 치마의 총칭은 상(裳)으로서, 상 중에서도 치마폭을 넓게 하고 길이를 길게 하여 주름을 치마 위부터 아래까지 깊이 잡아서 길게 끌리도록 만든 것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수학) Group (mathematics), 群 (数学)
    대수 구조 추상대수학에서 (群,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등장하는 개념이다. 을 연구하는 추상대수학의 분야를 군론(群論, 기하학, 수론에서 기원한다.서적 인용 은 모든 원소가 가역원인 모노이드이다. 즉,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항 연산 \cdot\colon G\times G\to G \cdot\colon(g,h)\mapsto gh 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40건

화순 운주사 석탑군, 석불군
군도목
운흥군
북창군
거북손 군
타포니 군
운전군
고산군
김정숙군
김형직군
갑산군
군불때기
김정숙군
김형직군
김형권군
군 시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