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사소송법, 국민 참여 재판 배심원 따로, 판사님 따로사례 유명한 대학교수인 심달변 교수가 여제자를 성추행하였다는 혐의로 법정에 서게 되었다. "나는 여제자를 성추행한 일이 없소." 문제가 될 때부터 법정에서까지, 그는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하였다. 그는 배심원에 의한 재판을 받겠다고 요구하여 그에 대한 재판은 배심원 재판으로 열리게 되었다. 재판 결과 배심원...
-
왜 한국에서도 공정 재판을 위한 언론 보도가 중요해졌나?, 국민참여재판 ..한국에서 공정 재판과 관련된 헌법 조항은 제109조로 "재판의 심리와 판결은 공개한다"고 했으며 다만 "심리는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안녕 질서를 방해하거나 선량한 풍속을 해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법원의 결정으로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국회의 경우, 헌법 제50조는 "국회의 회의는 공개한다"고 했으며 "다...
-
국민참여재판 참여재판제도, 國民參與裁判일반국민이 법관이 담당하는 형사재판의 업무(우리나라의 경우는 사실심리와 양형 모두)에 참여하는 제도 개설 종래 우리나라의 재판업무는 민주적 통제가 없는 직업법관이 전담하여 운영되었다. 그런데 사법에도 민주적 정당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는 사법제도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재판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2008년 1월 1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배심재판 ‘판결=판사의 전유물’ 공식 깨지다○○법원 오전 10시 형사법정 배심원 일동: "선서! 우리 배심원은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것을 다짐합니다." 재판장: 오늘 9명의 배심원은 판사들과 함께 국민을 대표하여 재판에 참여하게 됩니다. 선서하신 대로 공정하게 일해주시리라 믿습니다. 배심원은 재판이 끝날 때까지 서로 대화를 하거나 개인 ...
-
국민 참여 재판 國民參與裁判국민이 형사재판에 참여하는 제도로 2008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만 20세 이상의 국민 중 무작위로 선정된 배심원(예비 배심원)이 참여하는 형사재판으로, 배심원으로 선정된 국민은 재판에서 피고인의 유무죄에 관하여 평결을 내리고 적정한 형벌에 대해 토의하는 등 재판에 참여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배심원의 평결이...
-
문답으로 보는 국민참여재판국민참여재판의 궁금증을 문답으로 풀어본다. 국민참여재판이란? 국민이 배심원으로 참여하여 재판부에 독립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형사재판의 형태를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참여재판은 배심제(배심원이 독립적으로 유무죄를 판단)와 참심제(참심원이 재판부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제도)를 혼합한 방식이다. 법원은...
-
배심재판의 성공 가능성 배심원, 피고인에게 유리할까 불리할까?253건, 2012년 274건, 2013년 345건, 2014년 271건, 2015년 203건. 우리나라에서 일반 시민이 배심원으로 참여한 형사재판(국민참여재판, 이하 참여재판)의 연도별 판결 건수다. 대법원이 국민의 사법참여를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제도치고는 활성화됐다고 보기 어려운 수치다. 당사자인 피고인들이 참여재판에...
-
국민 참여 재판 제도절차에의 국민의 참여를 보장해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2007년 6월 공포된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해서 2008년부터 시행되었다. 배심제도는 형사 재판에서 비법률가인 배심원을 이용하여 사실문제를 결정하는 제도로, 국민참여재판에서는 만 20세 국민...
-
배심원들은 유죄인정에 더 엄격했다국민참여재판은 피고인에게 별로 유리하지 않은 제도일까? 지금까지 결과만 놓고 본다면 그렇지는 않다. 참여재판이 일반 형사재판보다 무죄율이 높고 양형에도 불리하지 않다는 의견도 지배적이다. 대법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09년 10월까지 참여재판의 무죄율은 7.8%(129건 중 10건)로 나왔다. 그...
-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위키문헌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은 국민이 형사재판에 참여하는 제도를 규율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다. 1. 「법원조직법」 제32조제1항(제2호 및 제5호는 제외한다)에 따른 합의부 관할 사건 2. 제1호에 해당하는 사건의 미수죄·교사죄·방조죄·예비죄·음모죄에 해당하는 사건 3.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