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론 분열 National Schism, エスニコス・ディハズモス
    그리스의 역사 국론 분열은 근대 그리스에서 그리스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지를 놓고 콘스탄티노스 1세 임금과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 사이에 일어난 불화를 일컫는 역사적 사건이다. 양자간에 불화를 빚자 국왕이 베니젤로스를 총리직에서 해임하면서 두 사람 개인은 극심하게 갈등하였으며 이로...
    도서 위키백과
  • 신무용 新舞踊
    쓰인 것은 1926년 3월경 경성공회당에서 공연된 일본의 무용가 이시이 바쿠[石井漠]의 춤을 신무용이라 부른 데서 시작되었다. 원래 이 말은 1904년 〈신악국론 新樂菊論〉을 통해 스보우치 소요[坪內]가 일본춤의 개혁을 주장하면서 전통적인 일본춤을 바탕에 둔 근대적 창작춤 조류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한국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총력안보중앙협의회 總力安保中央協議會
    사회단체장들이 모여 ‘총력안보발기대회’를 개최, 1975년 5월 8일 이 협의회를 발족시켰다. 이 협의회의 목적은 국가의 안전보장을 뒷받침하는 국민총화와 국론통일을 기하기 위한 범국민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총력안보체제를 확립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협의회는 각 사회단체의 총력안보 활동구심체로서 각 회원...
    시대 :
    현대
    설립 :
    1975년 5월 8일
    성격 :
    사회운동단체, 민간협의체
    유형 :
    단체
    해체 :
    1997년 3월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이항로 李恒老
    분분할 때 노성한 사람의 의견을 듣자는 김병학(金炳學)의 제청에 따라 동부승지로 부름을 받자 입궐하여 흥선대원군에게 척화론(斥和論)을 건의, 이를 국론으로 채택하게 했다. 며칠 후 공조참판으로 승진발령되고, 경연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의 중지와 과중한 세금부과의 시정을 촉구하는 상소를 올리고...
    출생 :
    1792(정조 16)
    사망 :
    1868(고종 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송공단 宋公壇
    감정(司宰監 · 軍資監正)이 되었다. 송산현은 1591년에 동래부사로 부임했는데 때는 임진왜란 바로 전년이었다. 당시 조정에서는 당파가 동서로 분열되어 국론이 통일되지 않고 혼란 속에 있었다. 1586년경부터 이미 일본과의 관계가 심상치 않았는데 동래는 일본군이 침입하는 첫 상륙지가 되므로, 조정에서는 문과...
    소재지 :
    부산시 동래구 동래시장길 27(복천동)
    지역 :
    부산
  • 이순신과 조선 수군의 활약
    조일전쟁 당시 중앙에서는 일본에 대한 상반된 평가를 하며 국론을 모으지 못하고 있었다. 게다가 전비를 가다듬지 못한 조선은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말았다. 일본은 해로를 통한 보급품 수송을 계획하며 파죽지세로 조선의 수도를 향해 진격하였다. 하지만 조선에는 화포로 무장한 오랜...
    시대 :
    1591년~1598년
  • 황현 운경, 黃玹
    갑오평비책 甲午平匪策〉·〈언사소 言事疏〉를 통하여 절의(節義)를 장려함으로써 유교적 인륜과 기강을 바로잡고 언로(言路)를 개방하여 유교적인 지성으로 국론을 이끌어가려고 했다. 그는 유자적(儒者的) 지배층적인 입장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수습하고 정치를 개혁하려 했으며, 서양의 기술문명은 수용하되 유교적인...
    출생 :
    1855(철종 6), 전남 광양
    사망 :
    1910
    국적 :
    한말,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베트남전과 빈곤퇴치 사업
    1966년에 존슨 대통령은 이 사실을 인정하였다. "번영을 누리고 있는 국가에서조차도 이 목표를 당장 실현할 수는 없는 것이다. … 새 계획의 진행속도는 어려움이 적었던 시기에 추진시키려고 했던 속도보다는 확실히 느려졌다." 미국 내에서는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는 물결이 거세게 일었고 국론마저 분열되었다...
  • 메타크사스 loannis Metaxas
    8월 4일 마침내 그는 국왕의 허가를 받아 독재정치를 실시한다고 선언했다. 메타크사스의 '8월 4일 정권'은 정치적 반대세력을 강력하게 억압하고 몇 가지 유익한 경제·사회 개혁을 실시하는 데 성공했다. 1940년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침공하자 국론을 통일해 서구 연합국 진영에 가담했으며, 죽을 때까지 권좌를...
    출생 :
    1871. 4. 12, 그리스 이타카
    사망 :
    1941. 1. 29, 아테네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내수외양론 內修外攘論
    기정진은 천주교 및 서구제국주의 침략에 대해서 국가의 방략을 확정하고, 상하관민(上下官民)의 국론을 통일함으로써 "안을 잘 가다듬어 밖을 친다"는 내수외양을 강조하였다. 그가 주장한 내수(內修)란 "요컨대 인심을 수습한다는 '결인심'의 석 자에 귀결된다"고 하는 극히 정신주의적 주장이었다. 주체적인 개화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대사기 大事記
    31권 31책. 필사본. 편찬시기는 1899년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조 역대의 기사 중 특정 왕 때의 중요한 사건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특히 국론의 시비를 공정히 가리기 위해 광범위한 자료를 참고하였다. 편년체 형식이나 기사본말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서문에서 편찬자인 이선시(李善始:?~?)는 당론이 일어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부석사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이다. 대사가 당(唐) 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하여 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
    위치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부석면)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국론 분열로 공산화된 베트남의 난민들이 배를 타고 국외로 탈출하고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