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대부인 國大夫人
    고려시대에 후비(后妃)의 어머니와 할머니, 국왕의 외할머니 등을 봉작하거나 추증할 때 수여한 외명부(外命婦) 정3품의 칭호.|내용 국대부인(國大夫人)은 공주 등 왕실여성을 제외한 지배층 여성에게 내려진 가장 높은 칭호였다. 후비의 모와 조모 등을 군대부인(郡大夫人)으로 삼았다가 왕태자를 책봉한 뒤 또는 국...
    시대 :
    고려
    성격 :
    외명부(外命婦)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국대부인 國大夫人
    삼국시대 신라 박제상의 부인으로 계림국대부인에 책봉된 열녀.|내용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부인이다. 나물마립간의 셋째아들 미해(美海: 미사흔)가 10살에 왜(倭)에 볼모로 가서 30여년간 돌아오지 못하자, 눌지마립간 때 삽라군(歃羅郡: 경남 양산) 태수(太守) 박제상이 왜에 파견되어 기계를 써 미해를 밤에 몰래 ...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열녀
    분야 :
    역사/고대사
  • 국대부인 國大夫人
    남북국시대 후백제 견훤의 딸인 공주.|내용 견훤(甄萱)의 딸로서, 장군 박영규(朴英規)의 부인이며, 고려 태조의 왕비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의 어머니이다. 견훤이 아들 신검(神劍)에 의하여 금산사(金山寺)에 갇혀 있다가 고려 태조에게 귀순하자, 국대부인은 남편 박영규와 의논하여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공주
    분야 :
    역사/고대사
  • 국대부인 國大夫人
    고려시대 외명부의 하나.|문종 때 공주·대장공주의 아래, 군대부인·군군의 위로 정했으며, 품계는 정3품이었다. 수여 대상은 남편이나 아들이 부원군·국상 등의 높은 관직에 오른 여인들이었다. 사서와 금석문의 기록에 의하면 공양왕의 어머니, 현종 비의 어머니, 이자겸의 아내, 세 아들이 벼슬길에 오른 여인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대부인
    국대부인(國大夫人·國太夫人)은 중국과 한반도의 제·왕국에서 사용했던 외명부(外命婦) 관작이다. 한반도에선 조선시대 세종 14년(1432년)에 부부인(府夫人)으로 개칭되었다. 국대부인은 중국 당나라에서 1품이상 관원(황족 포함)의 어머니나 부인을 봉작한 작위인 국부인(國夫人)을 기원으로 한다. 오대십국 시대에는...
    도서 위키백과
  • 국대부인 (후백제) Kyŏn Ae-bok
    왕족 정보 국대부인 견씨(國大夫人 甄氏, 생몰년 미상)는 후백제(後百濟) 제1대 왕 견훤(甄萱)과 왕후 박씨(王后 朴氏)의 딸이다. 박영규(朴英規)의 부인이며, 고려(高麗)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후궁(後宮)인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의 어머니이다. 견훤이 아들인 신검에게 붙들려 금산사에 갇혀 있다가 왕건에게 귀순...
    도서 위키백과
  • 의혜왕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懿惠王后
    한마리는 뜰에 서 있는 좋은 꿈을 꾸자, 이자춘에게 청혼을 하여 시집갔다. 회임한 지 14개월 만에 이성계를 낳았다. 그녀는 생존시에는 고려국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하여졌고, 조선이 개국되어 태조가 즉위하자 의비(懿妃)로 봉하여졌다. 뒤에 태종이 의혜왕후(懿惠王后)로 추봉하였고, 능을 화릉(和陵)이라...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삼한국대부인 순흥안씨 묘
    문화재 정보 삼한국대부인 순흥안씨 묘는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오흥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무덤이다. 1986년 5월 22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27호로 지정되었다. 이 묘는 금광저수지에서 사흥리로 들어가는 도로 좌측 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 제4대 세종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모친이자 영의정을 지낸...
    도서 위키백과
  • 봉보부인 奉保夫人
    秦國延壽保聖夫人)에 봉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진성여왕 때 유모 부호부인(鳧好夫人)의 존재가 보이며, 또 고려 우왕이 유모 장씨를 국대부인(國大夫人)에 봉했다는 이야기가 나와 유모에 대한 봉작이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봉보부인 칭호가 만들어진 것은 조선시대이다. 세종은 중국...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부인 夫人
    김유신(金庾信)의 처를 부인으로 책봉한 예가 보이기는 하나, 본격적으로는 고려시대에 시행되었다. 고려 초기의 외명부는 정3품에 국대부인(國大夫人), 정4품에 군대부인(郡大夫人) 등 부인의 명칭을 외명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후기에는 문무관(文武官)의 처(妻)와 모(母)에게 품계에 따라 각종 부인 칭호를 수여...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정희왕후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 貞熹王后
    증영의정 윤번(尹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18년(태종 18) 홍주군아(郡衙)에서 태어났다. 1428년(세종 10)에 가례를 행하였다. 처음에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수봉되었다가 이후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에 수봉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는...
    시대 :
    조선
    출생 :
    1418년(태종 18)
    사망 :
    1483년(성종 14)
    유형 :
    인물
    직업 :
    왕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 소헌왕후 소헌(昭憲), 昭憲王后
    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 이도(李祹)와 가례(嘉禮)를 올려 빈(嬪)이 되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 14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개봉(改封)되고, 이듬해 4월 충녕대군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에 봉해졌으며, 같은 해 9월에 내선(內禪)을 받아 즉위하니 12월...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