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가배상법 國家賠償法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손해배상책임과 그 배상절차를 규정한 법.|내용 우리 나라 <헌법> 제29조 제1항은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손해를 받은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 또는 공공단체에 정당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공무원 자신의 책임은 면제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1년 9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가배상제도 國家賠償制度
    국가의 위법 활동으로 인해 개인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 국가가 그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 19세기 이전까지는 국가에서 개인에게 배상을 하는 제도는 찾기 어려웠다. 국가배상제도는 프랑스에서 먼저 확립었고, 20세기에 들어서야 독일, 영국, 미국에서도 이를 제도화했다. 대부분은 공무원의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가배상법
    행정법국가배상법(國家賠償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손해배상(損害賠償)의 책임과 배상절차를 규정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다. 판례는 국가배상법상 배상심의회에 의한 배상결정은 행정처분이 아니라고 판시하였다. 국가공무원법이나 지방공무원법에 의하여 공무원으로서의 신분을 가진 자에 국한하지 않는다 외국인...
    도서 위키백과
  • 국가배상법 國家賠償法
    공무원이 직무상 고의나 과실로 국민에게 손해를 입혔을 경우 국가나 공공단체가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는 법률.→ 국가배상제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가배상 청구
    우리나라의 헌법 제29조는 국가배상청구권의 주체를 국민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가배상청구권은 대한민국 국민에게만 인정된다. 외국인에 대해서는 국가배상법 제7조의 상호보증주의에 따라 한국국민에 대하여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는 외국의 국민에게만 예외적으로 국가배상청구권이 인정된다. 또한 국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상 손해배상 行政上損害賠償
    고 규정하여 국가와 공공단체의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을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헌법의 규정에 따라 행정상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일반법으로서 국가배상법이 있다. 따라서 행정상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하여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국가배상법에 따라 해결하고, 국가배상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의 규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법
  • 공무원 公務員, public servant
    규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정법상의 공무원의 개념은 최광의·광의·협의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최광의의 공무원이란 공무를 담당하는 모든 자로 국가배상법상이나 형법상의 개념이 이에 해당한다. 광의의 공무원이란 국가 공공단체와 공법상 근무관계를 맺고 공무를 담당하는 기관구성자이며, 협의의 공무원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직업
  •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세월호 참사로 피해를 입은 사람에 대한 배상 및 보상을 심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4.16세월호참사 배상 및 보상 심의위원회를 설치한다. 법 3장은 국가등이 피해자의 신체적·정신적·경제적 피해 회복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법 24조와 25조는 세월호 피해자에게 심리상담과...
    도서 위키백과
  • 사법파동 司法波動
    규정했다. 즉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손해를 입은 국민은 국가 또는 공공단체에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국가배상청구권을 구체화하기 위한 법인 국가배상법은 제2조 1항 단서에서 피해자가 군인·군속 등 특수신분인 경우에는 국가배상청구권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었다. 이 규정이 위헌심판이라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손해배상 損害賠償
    받은 자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에 대하여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국가배상책임의 원칙을 정립하였다. 이 헌법에 따라 1951년 9월 8일「국가배상법」이 제정되었으며, 그 뒤 「헌법」 및 「국가배상법」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나 이 국가배상책임의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불법행위에 의한 행정상의...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행정상 손해 전보 제도 行政上損害塡補 制度
    고 규정하여 국가와 공공단체의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을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헌법의 규정에 따라 행정상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일반법으로서 국가배상법이 있다. 따라서 행정상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하여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국가배상법에 따라 해결하고, 국가배상법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의 규정...
    도서 다음백과
  • 사법부 파동 司法府波動
    1971년 당시 헌법은 제26조에서 국가배상청구권을 규정했다. 그러나 하위 법률인 국가배상법은 제2조 1항 단서에서 피해자가 군인·군속 등 특수신분인 경우에는 국가배상청구권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었다. 이 규정에 대해 위헌 심판이 제청되자 대법원은 국가배상법 제2조 1항 단서 조항을 인간의 존엄, 평등권, 국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