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분 문자 (관련어 구분자) Delimiter, 区切り文字
    번역 중 구분 문자는 일반 텍스트 또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별도의 독립적 영역 사이의 경계를 지정하는 데 사용하는 하나의 문자 혹은 문자들의 배열을 말한다. 구분 문자의 한 예로 쉼표가 있는데, CSV(comma-separated values) 파일의 필드 구분자의 역할을 한다. 영어로 Delimit이 "범위(한계)를 정하다"라는 의미이...
    도서 위키백과
  • 0의 발견 대단한 숫자 0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표기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바빌로니아, 그리스, 마야 그리고 중국 사람들은 다른 수들을 정확한 위치에 표기하기 위해 일종의 구분자 역할을 하는 기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어요. 하지만 0이 구분자 역할 외에도 더 많은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은 인도인들이 가장 먼저 알아냈어요...
    연대 :
    650년 경
  • 경로 Path (computing), 路径 (计算机科学)
    표현하기 위해 컴퓨터 과학 분야에 널리 쓰이며 URL의 구성에 필수적이다. 리소스는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로 표현할 수 있다 멀틱스는 1960년대 중순에 >를 구분자로 하여 디렉터리가 있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1970년 즈음에 유닉스는 슬래시 문자("/")를 디렉터리 구분자로 도입하였다. 1981년에 최초...
    도서 위키백과
  • Sort (유닉스) Sort (유닉스), Sort (Unix)
    각각으로부터 도출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정렬 키들에 바탕을 두어 시행된다. 디폴트에 의해서 전체 입력어는 정렬 키로 처리된다. 빈 공백은 디폴트 필드 구분자로서 처리되어 사용된다. -r 플래그는 정렬 명령을 반대로 시행한다. -b: 선행 공백 무시한다. -f: 영어 소문자를 대문자로 처리한다. 즉, 대소문자 구별안...
    도서 위키백과
  • 수신자 조작 특성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受信者操..
    정기각률이 늘어나면 탈루률이 늘어나는 관계를 효용 대 비용의 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ROC그래프에서 왼쪽 하단(0,0)은 절대 "있음"이라고 하지 않는 구분자를 말하는데 탈루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적중하지도 않는다. 이와 반대로 오른쪽 상단(1,1)은 무조건 "있음"이라고 하는 경우이다. 왼쪽 상단(0,1)은 완벽한 구분...
    도서 위키백과
  • 칸-인골드-프렐로그 순위 규칙 Cahn–Ingold–Prelog priority rule..
    구분짓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규칙이다. 분자는 임의 수의 입체중심과 임의 수의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CIP 체계의 목적은 각 입체중심에 R/S 구분자를 할당하거나, 각 이중 결합에 E/Z 구분자를 할당하여 전체 분자를 유일한 방식으로 구분하며 표기하기 위함이다. 칸-인골드-프렐로그 순위 규칙은 입체...
    도서 위키백과
  • 빗금 Slash (punctuation), スラッシュ (記号)
    또한 두문자어의 두 글자 사이에 슬래시를 종종 집어 넣는데, 상황에 따라서 그 의미를 혼동할 여지가 있다. 날짜를 간단하게 표시하는 경우 슬래시를 구분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9월 11일은 미국에서는‘9/11/2001’로, 그 밖의 많은 유럽/아메리카 국가에서는‘11/9/2001’로, 몇몇 아시아...
    도서 위키백과
  • 플랫 파일 데이터베이스 Flat-file database, フラットファイルデータベース
    공백, 탭, 쉼표 같은 공백문자나 기타 지정한 문자로써 각 필드를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추가로 형식을 지정(포맷팅)하여 구분자가 실제 데이터 안에 쓰이는 ‘구분자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랫 파일 내에는 구조적 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플랫 파일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복잡한 모델이...
    도서 위키백과
  • URL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제일 앞에 자원에 접근할 방법을 정의해 둔 프로토콜 이름을 적는다. gopher, telnet, , http, usenet 등이다. 프로토콜 이름 다음에는 프로토콜 이름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을 적는다. 만약 IP 혹은 Domain name 정보가 필요한 프로토콜이라면 ":" 다음에 "//"를 적는다. 프로토콜명 구분자인 ":" 혹은 "//" 다음에는...
    도서 위키백과
  • ISO 8601 ISO 8601
    leading zeros) 유지해야 하는 고정된 자릿수(fixed number of digits)를 갖는다. 표현은 두 가지 형식 중 한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최소한의 구분자를 이용한 기본 형식이고 다른 하나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구분자를 이용한 확장 형식이다. 표준에서 "평문에서 기본 형식은 피해야 한다"라고 적어...
    도서 위키백과
  • 파일 이름 Filename, ファイル名
    시스템에서 경로 이름을 이루는 요소로 이용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MS-DOS의 command.com 셸은 스위치 문자로 사용할 수 있지만 윈도 자체는 언제나 이를 구분자로 사용한다. ? 물음표 유닉스, 윈도, 아미가OS에서 특수 문자로 취급하며 한 글자라는 뜻으로 이용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유닉스 파일 이름에서는 이를...
    도서 위키백과
  • 새줄 문자 Newline, 改行コード
    Line Feed), U+000A FF 폼 피드(Form Feed), U+000C CR 캐리지 리턴(Carriage Return), U+000D CR+LF 연속된 CR과 LF NEL 다음 줄(Next Line), U+0085 LS 줄 구분자(Line Separator), U+2028 PS 문단 구분자(Paragraph Separator), U+2029 IBM 메인프레임, z/OS(OS/390), i5/OS(OS/400) 등 EBCDIC 시스템은 새줄 문자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