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학 국문법책개설 중학교 국어과의 교수요목에 따라 중학교 초급용으로 쓰어진 문법 교과서이며, 당시의 여러 학설을 종합하여 저술하였다. 서지적 사항 1책, 구교과서판, 반양장, 본문과 부록 84쪽. 1947년 8월 15일 서울 문교당 출판부 발행. 양주동(梁柱東, 1903~1977)과 정열모(鄭烈模, 1895~1967)의 서문을 책머리에 얹고 본문...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근수
- 창작/발표시기 :
- 1947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문교당출판부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윤경 한결, 金允經가 4대 명저의 하나로 표창받았다. 1952년부터는 문교부 사상지도원 전문위원 · 국사편찬위원, 6 · 25로 인한 교사복구추진위원, 대한교육심의위원, 교수요목개정심의회 국어위원, 문교부 교과용도서활자개량위원, 연희대학교 대학원장, 국어심의회 위원, 교육용도서편찬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1955년에는 학문...
- 시대 :
- 근대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신석호 치암(痴菴), 申奭鎬활동했고, 3월에는 국사관을 설립, 9월 사무국장에 취임했다. 1946년 3월 고려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고, 1947년 1월 국민학교 및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수요목제정위원, 2월에는 국정교과서 편찬심의위원이 되었다. 1949년 문교부 편수국장이 되었다. 1951년부터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겸임했으며, 1954년 제1회 학술원...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방순경 方順京국제체조연맹 총회에 한국대표로 참가하고 같은 해 로마올림픽대회에 참가함으로써 여성체육지도자로서의 경험과 지식을 높였다. 이외에 1946년 문교부 실과교수요목위원, 1956년에 과학기술용어 제정위원과 1961년 1월에 무학여자중·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6년서울특별시로부터 교육공로표창장, 1958년...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8년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교육자
- 대표작 :
- 즐거운 가정생활
- 성별 :
- 여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교과서검인정제도 敎科書檢認定制度1949년 12월 31일자로 ‘교육법’(법률 제86호)과 1952년 4월 23일에 ‘교육법시행령’(대통령령 제633호)이 제정·공포되었다. 1950년 6월 2일에는 ‘교수요목심의회 규정’(문교부령 제9호)도 공포를 보았다. 이 같은 제도적 장치들은 교과용 도서의 국정 및 검인정에 관한 법률적 근거도 마련되었다는 사실을 의미...
- 시대 :
- 현대
- 성격 :
- 교육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처 :
- 교육부
- 분야 :
- 교육/교육
-
제주교육박물관 濟州敎育博物館있다. 또한 제주의 언어문화를 영상과 퀴즈 등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제주어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제4전시실은 ‘제주교육의 변천’이라는 주제로 교수요목기부터 현재까지 각 교육과정기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주의 충・효・열과 제주의 정신(수놀음정신, 조냥정신 등) 관련 자료, 옛 입학식과 운동회, 졸업식...
- 시대 :
- 현대
- 위치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복 4길 25
- 설립 :
- 1995년 4월 29일
- 성격 :
- 박물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제주도 교육청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교과 과정 敎科 課程과정 시기는 1954년 4월 20일 ‘교육 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이 제정 공포된 때부터 1963년 2월 15일 ‘교육 과정령’이 제정 공포된 때까지를 말한다. [교수요목 시기:지식 중심 교육 과정] 교육 과정사에서 광복 직후부터 1954년 문교부령 제35호로 공포된 교과 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이 나오기까지의 시기를 교수...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