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리 校理
    내용 집현전과 홍문관의 교리는 정5품직이었으며, 승문원과 교서관의 교리는 종5품직이었다. 교서관에는 1인, 기타 기관에는 2인씩 정원을 두었다. 집현전의 교리는 1399년(정종 1)에 처음 두었으나 유명 무실하였고, 1420년(세종 2)에 집현전을 재건, 강화하면서 다시 2인을 두었으나 1456년(세조 2) 집현전이 혁파...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대산동 교리 大山洞 校理宅
    내용 1983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채 · 사랑채 · 서재 · 사당 · 대문간채 · 중문간채가 현존하며, 대략 1760년(영조 36)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 집은 성산이씨(星山李氏)가 대대로 살아온 “한개”마을에 있다. 한개마을은 해발 300m의 영취산을 주산으로 좌청룡 우백호가...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교리 校理
    교서관·승문원·집현전에 두었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홍문관과 집현원에서 서적을 다른 것과 비교해서 맞고 틀림을 조사·정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승문원 교리는 1409년(태종 9)에 문서응봉사를 개편·강화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이듬해 명칭 변경과 함께 2명으로 정원이 확정되었고, 그 임무는 주로 외교문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교리 마을[교리] 校里 마을[校里]
    [명칭 유래] 옛 이름은 고성리(古城里)로, 기장의 고읍성이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향교(鄕校)가 있는 마을이라 교리(校理)라고 불렀다. 교동(校洞)이라고도 부른다. [형성 및 변천] 교리 마을[교리]은 기장읍에서 가장 오래된 자연 마을로, 1356년(공민왕 5) 현재의 기장 읍성이 축조되어 옮겨 가기 전까지는 기장...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조최수 계량(季良), 趙最壽
    도덕 함양에 기여하였다. 1722년(경종 2) 지평(持平)을 지냈으며, 이듬 해 홍문록(弘文錄) 15인 중 1인으로 선발되었다. 그 뒤 1724년에는 수찬(修撰)과 교리(校理)의 직책을 수행하였다. 경종이 승하하고 영조가 즉위한 뒤 응교(應敎)·사간(司諫)·교리(校理)를 지내면서 불합리한 조정 대신을 탄핵하기도 하였다...
    시대 :
    조선
    출생 :
    1670년(현종 11)
    사망 :
    1739년(영조 15)
    경력 :
    대사간, 강원감사, 지의금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엄도 진여(晉汝), 嚴燾
    등을 선임하는 기록)에 오르고, 이듬해 도당록(都堂錄: 홍문관의 수찬(修撰)·교리 등을 선임하기 위한 의정부의 제2차 기록)에 오름으로써 교리(校理)가 되었다. 같은 해 교리로서 전년에 죽은 효의왕후(孝懿王后)의 빈궁을 옮겨야 한다고 직언하였다가 삼수로 유배되었다. 1823년에 석방되어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시대 :
    조선
    출생 :
    1777년(정조 1)
    사망 :
    미상
    경력 :
    암행어사, 부시관(副試官), 부수찬(副修撰), 예방승지, 참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엄도일록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영월(寧越)
  • 대산동 교리
    문화재 정보 대산동 교리댁(大山洞 校理宅)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83년 6월 20일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영조 때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등을 지낸 이석구 선생이 지은 집이다. 교리댁이라 한 것은 홍문관 교리를 역임했기 때문이라...
    도서 위키백과
  • 심광세 덕현(德顯), 沈光世
    해운판관(海運判官)·부안현감 등을 지냈다. 1611년 정언에 이어 부수찬이 되었으나 파면되고, 이듬해 다시 정언(正言)을 거쳐 수찬(修撰)·지평(持平)·교리(校理)를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문학을 거쳐 교리로 있을 때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무고를 입고 고성(固城)으로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시대 :
    조선
    출생 :
    1577년(선조 10)
    사망 :
    1624년(인조 2)
    경력 :
    예조좌랑, 해운판관, 부안현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휴옹집(休翁集), 해동악부(海東樂府)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청송(靑松)
  • 조지빈 인지(麟之), 趙趾彬
    급제하였다. 1722년(경종 2)에는 정언(正言)의 직책을 수행하였으며, 이듬해에는 홍문록(弘文錄) 15인 중의 1인으로 선발되었다. 1724년에는 지평(持平)과 교리(校理)를 역임하였다. 이 해 경종이 승하하고 영조가 즉위하였는데, 이 때 그는 부교리·교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 뒤 이듬해는 1725년에는 정언(正言...
    시대 :
    조선
    출생 :
    1691년(숙종 17)
    사망 :
    1730년(영조 6)
    경력 :
    대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주(楊州)
  • 승문원 承文院
    제조(提調:정2품 이상)와 부제조(副提調:通政大夫), 정3품 판교(判校) 1명, 종3품 참교(參校:訓敎 담당) 1명, 종4품 교감(校勘:訓敎 담당) 1명, 종5품 교리(校理) 2명, 정6품 교검(校檢) 2명, 정7품 박사 2명, 정8품 저작(著作) 2명, 정9품 정자(正字) 2명, 정9품 부정자(副正字) 2명을 두었다. 참교 이하는 다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교서관 교서감(校書監), 校書館
    태종 1)에 교서관으로 고쳤다. 관원은 모두 문관을 쓰며, 전자(篆字)에 익숙한 자 3인은 그 품계에 따라 겸임시켰다. 판교(判校) 1인은 타관이 겸하였고, 교리(校理) 1인, 별좌(別坐)·별제(別提) 합 4인, 박사(博士) 2인, 저작(著作) 2인, 정자(正字) 2인, 부정자(副正字) 2인의 관원과 사준(司準) 10인 등의 잡직과...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392년(태조 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윤집 성백(成伯), 尹集
    사항 13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형을 따라 공부해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고, 1631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이듬해 설서가 되었다. 그 뒤 수찬(修撰) · 교리(校理)에 오르고 헌납(獻納)을 역임한 뒤, 1636년 이조정랑 · 부교리를 거쳐 교리로 있을 때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국왕과 조정 대신들이 남한산성으로 난...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대산동 교리댁 / 가묘(大山洞 校理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