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주이 광평대군파 묘역 全州李氏 廣平大君派 墓域
    마련되었다. 그러다가 51년 후인 1495년(연산군 1) 성종의 왕릉을 이곳으로 정하면서 현재의 위치인 대왕면 광수산으로 이장하였다. 이 묘역에는 광평대군부인 (신자수의 딸)의 쌍분을 비롯해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때 화를 입은 태조의 일곱 번째 왕자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과 부인 왕...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전주 이 광평대군파 묘역
    선릉 부근)에 있었는데 연산군 원년(1495년) 3월 이곳이 성종의 왕릉인 선릉(宣陵) 터로 정해지면서 광수산(光秀山)의 지금 위치로 이장되었다. 광평대군부인 의 묘소는 높은 언덕 위에 각각의 무덤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으로 단을 쌓은 위에 봉분이 놓여 있고, 그 아래에 묘비와 낮은 받침돌을 둔 혼유석(魂遊...
    도서 위키백과
  • 전주이씨광평대군파묘역
    현 강남구 삼성동 선릉 부근)에 있었는데 연산군 원년(1495) 3월 이곳이 성종의 왕릉인 선릉 터로 정해지면서 광수산의 지금 위치로 이장되었다. 광평대군부인 의 묘소는 높은 언덕 위에 각각의 무덤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으로 단을 쌓은 위에 봉분이 놓여 있고 그 아래에 묘비와 낮은 받침돌을 둔 혼유석이...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31길 20 (수서동)
    문화재 지정 :
    [전주이씨광평대군파묘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1981.02.05 지정)
  • 광평대군 李璵 (朝鮮), 廣平大君
    1445) 남동생 : 영응대군(永膺大君, 1434 ~ 1467) 정부인 : 영가부부인 평산 (永嘉府夫人 平山 申氏) - 동지(同知) 증 좌의정(贈 左議政) 신자수(申自守)의...소헌왕후 문종 세조 안평대군 금성대군 이범석 전주 이 광평대군파 묘역 임영대군 양녕대군 효령대군 혜빈 양 대방군부인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도서 위키백과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륙재의촬요(水陸齋儀撮要),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學悅), 학조(學祖)를 비롯하여 무려 200여 명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현재 보물로 지정된 호림박물관 소장본에는 두 곳에 혜원의 인장이 찍혀 있어 광평대군 부인 가 소장하고 있었던 구장본(舊藏本)으로 보인다. 의의 및 평가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는 조선 전기 왕실에서 잇달아 간행한 여러 종의 수륙재...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지장보살본원경 地藏菩薩本願經
    寺)에서 판각하였다. 이 판본은 1474년 정희대왕대비가 이 해에 죽은 성종 비인 공혜왕후(恭惠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내수사의 천포(泉布)를 내려 광평대군부인 [廣平大君夫人申氏]의 원당(願堂)인 견성사에서 판각한 것이다. 부인과 그 아들 영순군(永順君)에 의하여 세조와 대비의 수복과 광평대군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임영대군 Grand Prince Imyeong, 李璆 (朝鮮)
    남동생 : 광평대군(廣平大君, 1425 ~ 1444) 남동생 : 금성대군(錦城大君, 1426 ~ 1457) 남동생 : 평원대군(平原大君, 1427 ~ 1445) 남동생 : 영응대군(永膺大君, 1434 ~ 1467) 정부인 : 군부인 의령 남 - 좌의정(右議政) 남지(南智)의 딸 계부인 : 제안부부인 전주 최 - 봉례(奉禮) 증 우의정(贈 右議政) 최승녕...
    도서 위키백과
  • 지장보살본원경 지장경, 地藏菩薩本願經
    인수대비(仁粹大妃), 안순대비(安順大妃) 등이 주관하여 죽은 공혜왕후(恭惠王后) 한(韓氏)의 명복을 빌기 위해 내수사(內需司)의 비용으로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부인 (申氏)의 원당(願堂)인 견성사(見性寺)에서 간행하였는데, 일부 판의 훼손으로 1485년(성종 16)에 보각(補刻)하여 간행된 것이다. 이 책은 본래...
    저작자 :
    법등(한역), 당나라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567호
    창작/발표시기 :
    1485년(성종 16), 보각
    성격 :
    불교경전, 왕실본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조선왕실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김민영
  • 지장보살본원경 지장경, 地藏菩薩本願經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뜬 공혜왕후(恭惠王后) 한(韓氏)의 명복을 위해 준비했으나, 이루지 못했던 것을 내수사(內需司)의 비용을 들여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부인 (申氏)의 원당(願堂)인 견성사(見性寺)에서 간행되었던 판을 1485년(성종 16)에 다시 보각한 것이다. 당(唐) 법등(法燈)이 한역(漢譯)한 것을 저본...
    저작자 :
    법등(한역)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104호
    창작/발표시기 :
    1485년 4월
    성격 :
    불교경전, 사찰본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조선왕실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미성동) 호림박물관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3월 22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의 가장 오래된 판본은 1470년(성종 1)광평대군부인 가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판본인 호림박물관 소장본(보물, 1991년 지정)이다. 그 다음으로 1483년(성종 14) 중대사에서 간행한 서울역사...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전산군부인 이
    살던 광평대군파의 후손이었다. 1934년 은언군의 후손들에 의해 묘소 부지가 포함된 산은 매각되었다. 2011년 경기도 김포의 터널공사 및 4차선 도로공사 부지에 그녀의 묘소도 포함되었다. 그러너 아무런 후속조치가 없었고 유족도 나타나지 않아 그녀의 묘소는 공고 후 무연고 분묘로 처리되어 파묘 처리되었다. 묘소...
    도서 위키백과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현전하는『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판본 중 가장 오래 된 것은 1470년(성종 1)에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부인 가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호림박물관 소장본(보물, 1991년 지정)인데, 이 책은 그보다 13년 뒤인 1483년(성종 14) 전라도 진안의 중대사...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