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산 김씨 光山 金氏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만균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연원] 광산 김씨의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신라의 왕자로서 장차 나라가 어지러워질 것을 예견하고 무진주(武珍州) 서일동(西一洞)[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으로 피하여 학문을 닦고 살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광산김씨 긍구당고택 光山金氏 肯構堂古宅역사적 변천 고택은 나지막한 산 자락을 등지고 서남향으로 자리하였는데, 광산김씨 담안공파인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 1520~1588)가 말년에 살면서, 가야서당(佳野書堂)을 열어 많은 제자를 길렀다. 집의 이름은 김언기의 4세손 김세환(金世煥, 1640~1703)의 호인 긍구당을 따서 붙였는데, ‘긍구(肯構)’는...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 光山金氏 齋舍 및 祠堂건립 경위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光山金氏 齋舍 및 祠堂)[재사 3동, 사당]은 광산김씨 문중 가운데 예안(禮安)의 입향조(入鄕祖)로 알려진 농수(聾叟) 김효로(金孝盧, 1445~1534)의 사당과 재사이다. 정면 1칸, 측면 1.5칸의 작은 건물인 사당은 김효로의 사후 2년 뒤인 1536년(중종 31)에 손자 김부필(金富弼, 1516...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光山金氏 禮安派 宗家 典籍서지사항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적 10종 58책과 서첩 3책 등 총 13종 61점이 경상북도 안동의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의 문중에 전하는 전적과 서첩 중에서 보물 제1019로 일괄 지정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전적 ① 서전(書傳): 7책(5·6·10책 결본). 목판본. 조선 전기...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 光山金氏 禮安派 宗家 ..將仕郞) 교첩을 비롯해 김연(金緣)·김부의(金富儀)·김해(金垓)·김부필(金富弼) 등 김씨 일문의 역대 홍패 교지 및 고신·교첩. ② 호적단자: 43점. 광산김씨의 시조 김흥광(金興光)의 14대손 김련의 고려 때 호구단자를 비롯해 1636년(인조 14) 김광실(金光實)의 호구단자 등 고려 말기에서 1897년까지 김씨 문중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광산김씨 유일재 고택 光山金氏 惟一齋 古宅교육활동이 힘써 당시 안동지역의 문풍(文風)을 일으키는데 크게 기여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선생의 종택이다. 유일재파의 선대는 퇴촌(退村) 김 열(金 閱)을 파조(派祖)로 하고 있는데 그의 23세손인 김용석(金用石)이 풍천면 구담리로 낙향한 후, 유일재 김언기가 가야(佳野)로 이거하였다. 이 집은 김언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광산김씨대덕5년준호구 광산김씨대덕오년준호구, 光山金..내용 김련이 47세 때인 1261년에 완성된 호적대장에 의하여, 그의 아들 사원(士元)이 등급(謄給)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김련의 준호구와 그의 손자 진(稹)의 추심호구단자(推尋戶口單子)로 되어 있는데, 필사 당시에도 원본의 상태가 나빠서 잘못 연결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필사해놓았으나, 원본의 체제를...
- 시대 :
- 고려 후기
- 창작/발표시기 :
- 1301년(충렬왕 27)
- 성격 :
- 문서, 관문서, 준호구
- 유형 :
- 문헌
- 분야 :
- 사회/촌락
- 소장/전승 :
- 개인소장(김준식)
-
황종관부부상중광산김씨부인상채용신은 조선 말기 최고의 초상화가란 평가를 받는데 이 작품은 그가 85세 때인 1934년에 그린 작품이다. 황종관부부상 중 부인인 광산 김씨의 초상으로 황종관상과 짝을 이룬다. 황종관은 심의를 입고 정자관을 쓰며 손에는 부채와 안경을 들고 앉아 있고, 김씨는 은장도와 손수건을 들고 앉아 있다. 얼굴과 손의 주름...
-
Gwangsan Kim clan 광산 김씨Gwangsan Kim clan (Kwangsan Kim clan) (Hangul: 광산김씨 Hanja: 光山金氏)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clans during the Joseon Dynasty.The members of the Gwangsan Kim clan were the descendants of Heung Gwang (흥광, 興光), who was the third prince of King Sinmu of Silla, the 45th monarch of the Si...출처 영어 위키백과
-
광산김씨 유일재고택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택이다. 선대는 풍천면 구담리에 있었으나 유일재[惟一齋] 김언기 [金彦璣]가 가야[佳野]로 이거하였고, 1700년대말 그의 9대손인 도상[道常]이 이곳으로 옮기면서 이 집을 구입하였다고 전한다. 건립년대는 1600년대말로 추정된다. 마을 뒷산 중턱에 남향으로 자리잡았으며 ㅁ자형 정침과...
- 위치 :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선돌길 113-16
- 문화재 지정 :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13호(1996.01.20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와여리 광산 김씨 세거지 瓦余里 光山 金氏 世居地라는 뜻이 된다고 본다. 이후 이곳에 정착한 오씨 일가가 기와집 촌을 형성하면서 기와 와(瓦)를 써서 와여(瓦余)로 변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광산 김씨(光山金氏)는 신라 제45대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한다. 기장군 철마 지역에는 임진왜란 전후로 김만균(金萬鈞)이 처음...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