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전 公田있던 국유지·관유지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수조권이 특정 개인에게 있었던 사전(私田)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공전이라는 용어와 개념은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중국에서의 공전은 국가·국왕에 의해 직접 경영되거나 또는 그 수익이 직접 국가·국왕의 소득으로 되는 토지를 의미하였다. 반면 일반인민들이...
- 시대 :
- 고려
- 성격 :
- 재정, 경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조선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십일조 什一租파악하고 민전의 수조율을 1/10로 파악하였다. 한편 『고려사(高麗史)』 권 78, 「식화(食貨)」1, 「조세(租稅)」 성종(成宗) 11년의 판(判)에 의하면 공전(公田)의 조(租)는 생산량의 1/4을 거두는 것으로 정해졌는데, 이는 둔전(屯田) · 공해전(公廨田)과 같은 국공유지의 수조율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근래 고려 공전조...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사전 私田개설 고려시대는 토지를 크게 공전(公田)과 사전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속하는 토지의 구체적인 지목(地目)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고려사』 식화지 상평의창조(常平義倉條) 현종 14년(1032) 윤9월 판(判)에 의하면, 공전은 1과·2과·3과로 구분되며, 사전은 궁원전(宮院田)·사원전(寺院田)·양반전(兩班田)과...
- 시대 :
- 고려
- 성격 :
- 토지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과전법 科田法국가 관리를 강화하는 일이었다. 과전법에 규정된 국가의 토지 분급은 크게 수조권이 개인에게 귀속되는 사전(私田)과 수조권이 공공 기관에 귀속되는 공전(公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전으로는 관료에게 준 과전(科田) · 공신전(功臣田) · 외관직전(外官職田), 한량관(閑良官) 등에게 준 군전(軍田), 향(鄕) · 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고려토지제도사연구 高麗土地制度史硏究함께 또 따로 설정되는 별정전시과(別定田柴科)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제3장이다.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이 체제 아래에서 분급, 지배되는 각종 토지를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으로 나누고, 소유권과 수조권 이론에 근거한 그의 개념과 더불어 지목 하나하나를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양반전과 공음전시 및 한인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강진철
- 창작/발표시기 :
- 1980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고려대학교 출판부
- 분야 :
- 역사/근대사
-
답험손실법 踏驗損實法이 10%이면 10%의 조(租)를 감면하고, 손실이 20%이면 20%의 조를 감면하여 가다가 손실이 80%에 이르면 조를 전부 면제하도록 하였다. 답험의 방식은 공전(公田)의 경우 수령이 관찰사에게 보고하면 관찰사가 관원을 보내 다시 심사하도록 하였고, 사전(私田)은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은 관리가 스스로 심사하도록...
- 시대 :
- 고려 후기 , 조선 전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궁원전 궁수전, 宮院田소유하고 있던 토지, 국가·왕실로부터 받은 사급전 등의 사전(私田)과 궁원의 운영경비를 조달하기 위한 재원으로서 마련된 공해전(公廨田) 등의 공전(公田)이 있었다. 이 밖에도 장(莊)·처(處)라는 토지도 있었는데, 이것은 사유지로서의 장·처와 수조지로서의 장·처로 구분된다. 궁원전은 원칙적으로 자손에의...
- 시대 :
- 고려
- 성격 :
- 경제제도, 재정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초기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