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인보 鄭寅普
    처음 사용하고 국학연구의 기초를 '실학'에서 찾았다. 1946년 민족사를 모르는 국민에게 바른 역사를 알리고자 〈조선사연구〉를 펴냈으며, 주자학자들의 공리공론과 존화사상을 없애고자 유학의 개혁을 주장했고,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양명학연론 陽明學演論〉(1972)을 펴냈다. 8·15해방 후 우익 진영의 문인단체인...
    출생 :
    1893. 5. 6,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실사구시 實事求是
    실사구시라는 말은 〈한서(漢書)〉 권53, 경십삼왕·하간헌왕덕전(景十三王·河間獻王德傳)에서 나온 말이다. 청나라초에 고증학을 표방하는 학자들이 공리공론(空理空論)을 일삼는 송(宋)·명대의 학문을 배격하여 내세운 표어이다. 그 대표적 인물로는 황종희(黃宗羲)·고염무(顧炎武)·대진(戴震) 등이 있다. 우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허생전 許生傳
    내용이다. 이 작품은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함께 작자의 실학사상을 잘 드러내 보여주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독서하는 선비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공리공론의 벽에 가두어두지 말고 가정과 사회와 국가의 경영에 사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사회적으로 천시하던 상업에 관심을 가져 상품의 유통과 물물교환의 가치를 인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고염무 雇炎武, Ku Yenwu
    1,000년 동안 중국 제국을 떠받쳐 온 성리학의 난해한 공리공론과 책에서만 얻은 쓸모없는 지식을 날카롭게 비판하여 청대(淸代)의 새로운 학풍을 개척했다. 그의 저작은 유학의 틀 안에서 합리적 핵심을 찾아 중국의 전통과 서양의 지식을 결합하고자 하는 19세기 '중체서용운동'의 철학적 토대가 되었다. 그는 만주족...
    출생 :
    중국 장쑤 성[江蘇省] 쿤산[崑山], 1613. 7. 15
    사망 :
    1682. 2. 15, 산시 성[陝西省] 화인[華陰]
    국적 :
    중국, 명(明)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샤플랭 Jean Chapelain
    문학 비평에 경험론의 기준을 적용하고자 했다. 그의 접근 방식은 고대 그리스의 권위자들에게 의존하여 공리공론을 일삼던 다른 비평가들에 대한 도전이었다. 그의 평론은 주로 짤막한 논설과 학술논문 및 방대한 편지로 전개되었다. 그 자신의 시는 보잘것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630년에 쓰기 시작한 서사시...
    출생 :
    1595. 12. 4, 파리
    사망 :
    1674. 2. 2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실학적 지리학자
    봉건제 말기, 기존의 성리학이 명분론에 사로잡혀 공리공론(空理空論)만을 되풀이하면서 현실 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함에 따라 실생활이나 사회적 문제에 대해 보다 깊은 관심을 보이는 학문의 경향, 실학이 나타났다. 이러한 사상은 조선학자들의 가치관을 변화시켜 중국 중심의 사상에서 탈피하고 천문·지리...
    도서 다음백과
  • 한국의 교육사상
    사상가로 이황·이이를 들 수 있다. 조선 후기의 특징적인 교육사상으로는 실학을 들 수 있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 유교사상이 실제생활과 무관한 관념적 공리공론에 빠지고 실생활은 허례허식에 치우치는 것을 경계하여 본래 성인의 가르침인 예(禮)로 돌아가는 한편,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고려한 근검사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지봉유설 芝峯類說
    지봉유설≫을 통하여 실용·실리추구의 정신과 실증정신·민본정신 등 무실(務實)의 정신을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고증적이고 실용적인 그의 학문태도는 공리공론(空理空論)만을 일삼던 당시의 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그 뒤에 이 책과 같은 체재가 이익(李瀷)의 ≪성호사설≫,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 旬五...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수광(李睟光)
    창작/발표시기 :
    1614년(광해군 6), 1634년(인조 12)(출간)
    성격 :
    사전, 백과사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0권 10책
    분야 :
    문학/한문학
  • 홍대용의 학문
    홍대용은 주자학자들이 입으로는 정학이니 구세니 하면서 실은 무심·승심·권심·이심의 불순한 마음으로 허에 빠지고 있다고 개탄하고 공리공론의 해악으로 실(實)을 잃은 나라의 장래를 걱정했다. 그의 실학적인 학문경향은 18세기 중엽 민중의 생활안정과 번영을 추상적인 도덕론보다 상공업의 발달과 기술혁신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형산유고 馨山遺稿
    라 하고 인(人)·물(物)에 있어서는 성(性)이라 말할 수 있으니, 인과 물은 이동(理同)이나 성부동(性不同)이라는 생각으로 호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러나 낙론의 견해도 그르다고는 할 수 없다 하고, 이러한 학설의 시비논쟁보다는 치심양성(治心養性)이 선결하여야 할 일임을 강조하여 공리공론을 배격...
    시대 :
    현대
    저작자 :
    최동희
    창작/발표시기 :
    1974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최기성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취원당문집 聚遠堂文集
    에게 답한 글은 학문하는 이들이 앉아서 성리(性理)나 논하고 허세로 이름을 얻어 경연(經筵)에 들어가게 되므로 일의 절차도 제대로 모른다는, 성리학의 공리공론적인 맹점을 지적한 내용이다. 기의 「영모당기(永慕堂記)」는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유(紐)를 위하여 쓴 것으로, 천지간에 오고가는 기운과 부(父)·조...
    시대 :
    조선
    저작자 :
    조광익
    창작/발표시기 :
    고종 연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간행/발행 :
    조위문(편집), 조한규(간행)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1·2차 조만전쟁
    서인정권은 40일 만에 청군에게 삼전도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게 되었다. 삼전도의 굴욕은 명나라에게만 의지한 채 민심과 국방을 소홀히 한 서인정권의 공리공론이 가져온 당연한 결과였다. 조선을 완전히 굴복시킨 청은 명을 공격하기 위하여 조선의 정권을 교체하지 않았다. 이후 서인정권은 청에 대한 원한을 갚기...
    시대 :
    1627년~1636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