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지봉유설 芝峯類說지봉유설≫을 통하여 실용·실리추구의 정신과 실증정신·민본정신 등 무실(務實)의 정신을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고증적이고 실용적인 그의 학문태도는 공리공론(空理空論)만을 일삼던 당시의 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그 뒤에 이 책과 같은 체재가 이익(李瀷)의 ≪성호사설≫,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 旬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수광(李睟光)
- 창작/발표시기 :
- 1614년(광해군 6), 1634년(인조 12)(출간)
- 성격 :
- 사전, 백과사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0권 10책
- 분야 :
- 문학/한문학
-
형산유고 馨山遺稿라 하고 인(人)·물(物)에 있어서는 성(性)이라 말할 수 있으니, 인과 물은 이동(理同)이나 성부동(性不同)이라는 생각으로 호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러나 낙론의 견해도 그르다고는 할 수 없다 하고, 이러한 학설의 시비논쟁보다는 치심양성(治心養性)이 선결하여야 할 일임을 강조하여 공리공론을 배격...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최동희
- 창작/발표시기 :
- 197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최기성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취원당문집 聚遠堂文集에게 답한 글은 학문하는 이들이 앉아서 성리(性理)나 논하고 허세로 이름을 얻어 경연(經筵)에 들어가게 되므로 일의 절차도 제대로 모른다는, 성리학의 공리공론적인 맹점을 지적한 내용이다. 기의 「영모당기(永慕堂記)」는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유(紐)를 위하여 쓴 것으로, 천지간에 오고가는 기운과 부(父)·조...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광익
- 창작/발표시기 :
- 고종 연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조위문(편집), 조한규(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1·2차 조만전쟁서인정권은 40일 만에 청군에게 삼전도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게 되었다. 삼전도의 굴욕은 명나라에게만 의지한 채 민심과 국방을 소홀히 한 서인정권의 공리공론이 가져온 당연한 결과였다. 조선을 완전히 굴복시킨 청은 명을 공격하기 위하여 조선의 정권을 교체하지 않았다. 이후 서인정권은 청에 대한 원한을 갚기...
- 시대 :
- 1627년~1636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