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골품제도 骨品制度신라시대의 신분제도. 개설 이 제도는 골품(骨品), 즉 개인의 혈통(血統)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치적인 출세는 물론, 혼인, 가옥의 규모, 의복의 빛깔, 우마차(牛馬車)의 장식에 이르기까지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가해졌다. 세습적인 성격이나 제도 자체의 엄격성으로 보아, 흔히 인도(印度)...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신분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신라 국가형성기
- 폐지일 :
- 신라 말기
- 분야 :
- 역사/고대사
-
골품제신라에서 출신 성분에 따라 신분을 골(骨)과 품(品)으로 등급을 나누던 제도이다. 가장 높은 성골로 시작하여, 아래로 진골, 6두품, 5두품, 4두품, 3두품, 2두품, 1두품으로 나뉘었다.
-
신라골품제사회와화랑도 新羅骨品制社會─花郎徒개설 A5판. 총 434쪽. 1980년 한국연구원(韓國硏究院)에서 간행했고, 1984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다시 간행하였다. 내용 저자는 골품제를 화랑도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내용은 크게 3편으로 나누어져 논술되었다. 제1편에서는 주로 사회인류학의 이론을 원용해 신라 왕실의 혈연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기동
- 창작/발표시기 :
- 1980년, 1984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434쪽
- 간행/발행 :
- 한국연구원(1980), 일조각(1984)
- 분야 :
- 역사/고대사
-
진골 眞骨개설 신라사회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발전해 가면서 엄격한 신분제인 골품제(骨品制)가 형성되었는데, 진골은 성골(聖骨) 다음의 계급이지만 왕족인 점에서는 성골과 차이가 없다. 연원 및 변천 골품제는 골제(骨制)와 두품제(頭品制)로 짜여 져 있었는데, 골제에 편입된 신분은 사로국(斯盧國)의 왕족인 박씨·석씨...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