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골품제도 骨品制度
    신라시대의 신분제도.|개설 이 제도는 골품(骨品), 즉 개인의 혈통(血統)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치적인 출세는 물론, 혼인, 가옥의 규모, 의복의 빛깔, 우마차(牛馬車)의 장식에 이르기까지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가해졌다. 세습적인 성격이나 제도 자체의 엄격성으로 보아, 흔히 인도(印度)...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신분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신라 국가형성기
    폐지일 :
    신라 말기
    분야 :
    역사/고대사
  • 골품제 骨品制
    신라의 신분제도.|골품제는 모두 8개의 신분층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골족은 성골(聖骨)과 진골(眞骨)로 구분되었으며, 두품층은 6~1두품까지 6개의 신분층이 존재하였다. 골품, 즉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관직진출·혼인·복색(服色)을 비롯한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범위와 한계를 규정한 신분제이다. 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사회제도
  • 골품제
    신라에서 출신 성분에 따라 신분을 골(骨)과 품(品)으로 등급을 나누던 제도이다. 가장 높은 성골로 시작하여, 아래로 진골, 6두품, 5두품, 4두품, 3두품, 2두품, 1두품으로 나뉘었다.
  • 골품제도 骨品制度
    신라의 신분제도. 골품제도는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관직진출·혼인·복색을 비롯한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범위와 한계를 규정한 신분제였다. 신라 국가형성기 이래 정치체제 및 사회발전과정과 병행하여 정비된 골품제는 삼국통일 이후에도 존속하다가 고려의 성립으로 소멸했다.골품제는 왕족을 대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골품제와 관등
    수장적(首長的) 의미를 간직한 것이 많은 점으로 보아 본래 여러 종류였던 지배자의 명칭이 하나의 관등체제에 편제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관등제는 골품제와 표리관계를 이루며 존재했다. 제1관등인 이벌찬(伊伐飡)에서 제5관등인 대아찬(大阿飡)까지는 오직 진골만이 차지할 수 있었고, 다른 신분층은 대아찬 이상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골품 제도 (관련어 골품제) Bone-rank system, 骨品制
    골품 제도에까지 영향을 끼쳤다는 설도 있다. 골품제는 기본적으로 여덟 단계로 구분된다. 왕족은 성골(聖骨)과 진골(眞骨)로 구분되며, 왕족이 아닌 신분은 진골에서 6까지의 두품(頭品)으로 나뉘었다. 숫자가 높은 두품이 더 높은 신분이다. 두품의 경우 왕경(王京)에 거주하는 귀족 계층에 대해서만 적용하였던 신분...
    도서 위키백과
  • 골품제의 해체
    골품제는 신라가 성장해나가는 과정에서 성립한 역사적 산물이었다. 따라서 신라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골품제도 끊임없이 변화했다. 특히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이 완성된 후 이전의 고구려·백제 영토 및 그 안에 거주하던 사람들도 새로이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고구려·백제의 지배층은 본국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신라골품제사회와화랑도 新羅骨品制社會─花郎徒
    개설 A5판. 총 434쪽. 1980년 한국연구원(韓國硏究院)에서 간행했고, 1984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다시 간행하였다. 내용 저자는 골품제를 화랑도와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내용은 크게 3편으로 나누어져 논술되었다. 제1편에서는 주로 사회인류학의 이론을 원용해 신라 왕실의 혈연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기동
    창작/발표시기 :
    1980년, 1984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434쪽
    간행/발행 :
    한국연구원(1980), 일조각(1984)
    분야 :
    역사/고대사
  • 신라의 골품제
    및 이후 고려·조선시대의 신분제와 비교해서 신라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신라 국가 형성기 이래 정치 체제 및 사회 발전 과정과 병행하여 정비된 골품제는 신라에 의해 삼국이 통일된 이후에도 장기간 존속하다가 고려의 성립으로 소멸하였다. 왕족을 대상으로 한 골제와 여타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두품제로...
    도서 다음백과
  • 진골 眞骨
    개설 신라사회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발전해 가면서 엄격한 신분제인 골품제(骨品制)가 형성되었는데, 진골은 성골(聖骨) 다음의 계급이지만 왕족인 점에서는 성골과 차이가 없다. 연원 및 변천 골품제는 골제(骨制)와 두품제(頭品制)로 짜여 져 있었는데, 골제에 편입된 신분은 사로국(斯盧國)의 왕족인 박씨·석씨...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성골 聖骨
    신라시대에는 지배층의 신분제도로서 골품제가 존재했는데, 성골은 그 골품 가운데 왕족만이 속한 가장 높은 신분이었다. 그러나 성골은 제28대 진덕여왕을 끝으로 소멸했고 그뒤에는 진골 신분이 왕위를 계승했다. 성골에 관한 기록이 문헌에 따라 약간 다르게 나타나 있어 그 기원이 어느 때인지 분명하지 않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6두품 득난, 六頭品
    득난(得難)이라고도 한다. 골품제는 성골(聖骨)·진골(眞骨)의 골제(骨制)와 1~6두품의 두품제로 구분되는데, 6두품은 두품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에 있었다. 진골신분과 함께 신라 중앙귀족의 한 부분을 이루었다. 6두품은 법제적으로 신라 17관등 중 제6관등인 아찬까지만 올라갈 수 있어서, 제5관등인 대아찬 이상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신라의 골품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