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복 입는 방법(남자)
    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문화 일반
  • 한복 입는 방법(여자)
    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대어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그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 한복 韓服
    서민 남녀는 계속해서 우리 고유 포를 입어 현대에 이르고 있다. 고려말기에 고름이 생겼고, 포의 용어가 두루마기로 되었다. 조선 중기 이후 유교가 강화되면서...되었다. 조끼와 마고자는 개화기 때 생긴 옷으로 현재 우리 전통 한복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끼는 1880년대 이후 남자 양복이 들어오면서 한복에 도입...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의생활
  • 생활한복 生活韓服
    살린 생활한복들이 계속 선보이고 있다. 구조 및 형태 초기의 생활한복에서 남성복은 저고리와 바지, 여성복은 저고리와 치마 등 전통한복의 기본 구조와 양식을 유지하면서 깃, 고름, 소매 등 복식의 각 부분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을 다양화하였다. 저고리를 여미기 위해 사용된 옷고름이나 대님 대신 단추, 스냅, 지퍼...
    시대 :
    현대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당의 당저고리, 唐衣
    한다. 겨울에는 주로 겹당의, 여름에는 홑당의를 입었다. 당의의 특징은 한복의 곡선미를 강조한 데 있으며 길이는 무릎까지 오고 소매가 좁았다. 앞뒤 길이가...도련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룬다. 연두색 비단 바탕에 홍색안을 넣으며 고름은 자주색으로 왼쪽 코깃에 2장을 겹쳐 달고 오른쪽에 짧은 고름을 1장 단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한복 Hanbok, 韓服
    일례로 돌잔치를 할 경우 여자 아이에게는 다홍치마에 색동저고리를 입고 머리에는 조바위 혹은 굴레를 씌웠다. 가장 흔히 알려진 한복의 장신구는 노리개로서 노리개는 한복 저고리의 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는 여성 장신구의 일종이다. 그 속뜻은 "소중한 물건", "사랑하고 즐기며 아끼는 물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도서 위키백과
  • 배자 褙子
    오늘날의 배자이다"라고 해서 배자가 반비에서 유래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말기까지는 남녀공용으로 썼으나 오늘날에는 여성전용으로 쓴다. 소매·섶·고름이 없는 것은 남녀용 모두 같으나 남자용에는 끈이나 단추로 여미게 되어 있으며 여자용에는 끈·단추 등이 없다. 방한용뿐 아니라 장식용으로 화려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저고리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상의(上衣)의 총칭으로 남녀 공통의 가장 기본적인 복식이다. 저고리의 구성은 길·소매·깃·동정·고름이 기본 형제(基本形制)이며, 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하였다.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고름
    한복의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을 여미기 위한 약간 폭이 있는 두 개의 끈으로, 고려 시대 후기에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면서 등장하였다. 처음에는 실용성만을 고려하여 좁고 짧았으나, 조선 후기에는 고름이 넓고 길어져 우리 옷의 직선과 곡선미의 조화를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아동복 아동 복식, 兒童服
    한 오방색 두루마기 등에서 당시 아동복의 특징을 볼 수 있다. 개항 이후 유입된 근대적 아동관과 서양복의 영향으로 전통 아동복의 구조를 개량하고 한복과 서양복을 함께 착장하는 단계를 거쳐 서양복을 입게 되었다. 외출용으로 입었던 두루마기는 긴 고름을 떼고 단추를 달아 여며서 입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한복...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모시적삼 한겨울에 모시 속적삼을 해준 친정어머니의 숨은 뜻
    모시적삼처럼 시원하고 살맛 나는 소통의 한 해를 꿈꿉니다 한복에서 저고리는 윗옷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한복 윗옷으로 저고리와 같지만 고름이 없고, 단추를 달아 여미도록 한 적삼도 있는데 여름용 겉적삼과 속적삼이 있습니다. 중국 당나라 남명천선사(南明泉禪師)가 지은 《증도가》를 성종 13년(1482) 한글로...
  • 교복 학생복, 校服
    남학생은 교복으로 한복 두루마기를 주로 착용하였고, 지정된 모자를 쓰고 다녔다. 교복에 학교를 상징하는 단추, 교표 등이 추가되기 시작했는데, 1911년경 경신학교(1886년 개교)에서는 두루마기 고름을 개량하여 고름 대신 학교를 상징하는 단추를 달았다. 숙명고등여학교(1911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의...
    시대 :
    현대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