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복 입는 방법(남자)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
한복 입는 방법(여자)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대어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그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
한복 韓服서민 남녀는 계속해서 우리 고유 포를 입어 현대에 이르고 있다. 고려말기에 고름이 생겼고, 포의 용어가 두루마기로 되었다. 조선 중기 이후 유교가 강화되면서...되었다. 조끼와 마고자는 개화기 때 생긴 옷으로 현재 우리 전통 한복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끼는 1880년대 이후 남자 양복이 들어오면서 한복에 도입...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생활한복 生活韓服살린 생활한복들이 계속 선보이고 있다. 구조 및 형태 초기의 생활한복에서 남성복은 저고리와 바지, 여성복은 저고리와 치마 등 전통한복의 기본 구조와 양식을 유지하면서 깃, 고름, 소매 등 복식의 각 부분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을 다양화하였다. 저고리를 여미기 위해 사용된 옷고름이나 대님 대신 단추, 스냅, 지퍼...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아동복 아동 복식, 兒童服한 오방색 두루마기 등에서 당시 아동복의 특징을 볼 수 있다. 개항 이후 유입된 근대적 아동관과 서양복의 영향으로 전통 아동복의 구조를 개량하고 한복과 서양복을 함께 착장하는 단계를 거쳐 서양복을 입게 되었다. 외출용으로 입었던 두루마기는 긴 고름을 떼고 단추를 달아 여며서 입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한복...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모시적삼 한겨울에 모시 속적삼을 해준 친정어머니의 숨은 뜻모시적삼처럼 시원하고 살맛 나는 소통의 한 해를 꿈꿉니다 한복에서 저고리는 윗옷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한복 윗옷으로 저고리와 같지만 고름이 없고, 단추를 달아 여미도록 한 적삼도 있는데 여름용 겉적삼과 속적삼이 있습니다. 중국 당나라 남명천선사(南明泉禪師)가 지은 《증도가》를 성종 13년(1482) 한글로...
-
교복 학생복, 校服남학생은 교복으로 한복 두루마기를 주로 착용하였고, 지정된 모자를 쓰고 다녔다. 교복에 학교를 상징하는 단추, 교표 등이 추가되기 시작했는데, 1911년경 경신학교(1886년 개교)에서는 두루마기 고름을 개량하여 고름 대신 학교를 상징하는 단추를 달았다. 숙명고등여학교(1911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의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