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종이 포장으로 화분 장식 화분 옷 입히기변신시킬 수 있습니다. 종이를 잘라 붙이는 것만으로도 포인트가 되기도 하지요. 모양을 예쁘게 자를 자신이 없다면 원래 있던 모양을 오려서 붙여 주세요. 계절감이 느껴지는 패턴을 잘라 붙여도 좋겠지요. 만드는 방법 1단계 종이를 화분 사이즈에 맞게 자릅니다. 2단계 종이를 길게 접어 주세요. 3단계 화분을 종이...
-
-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下有衝派逆折之回川......中略]"라는 구절과 일치하는 장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청색, 녹색, 엷은 붉은 색을 맑게 칠했으며 단풍 든 나무 표현을 통하여 가을의 계절감을 느낄 수 있다. 형태 및 특징 종이 바탕에 담채로 그렸으며 크기는 세로 58㎝, 가로 818㎝이다. 황색, 적색, 청색의 무늬가 있는 연두색 바탕의...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일 閑日보면서 놀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이 작품은 햇살이 비친 노란색 땅과 청색, 주황색, 초록색 등 아이들이 입고 있는 다양한 색감의 옷에서 따듯한 봄의 계절감을 드러낸다. 1939년 그의 이과전 입선작인 「유동」과 1942년작 「한정」은 이 작품의 소재와 구도의 원형이 된 작품이다. 어린 아이들의 한가로운 정경, 검게...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박상옥
- 창작/발표시기 :
- 1954년
- 성격 :
- 유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112㎝, 가로 193㎝
- 권수/책수 :
- 1점
- 재질 :
- 캔버스에 유채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국유
-
외금강 외금강육화암(外金剛六花岩), 外金剛좌우에 농묵과 담묵을 더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전체적으로 수묵을 위주로 산세를 그리면서도 산등성이와 나뭇가지에 붉은 채색을 더하여 가을의 계절감을 표현하였다. 내용 이응노는 1936년 도쿄로 건너가 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敎), 혼고회화연구소(本鄕繪畵硏究所), 덴코화숙(天香畵塾)을 통해 일본화, 양화...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이응노
- 창작/발표시기 :
- 1945년
- 성격 :
- 산수화, 금강산도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126㎝, 가로 420㎝
- 권수/책수 :
- 1점
- 재질 :
-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대전시립미술관
-
애니메이션라이팅원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실내, 실외, 창문, 우주, 해양, 동굴, 터널, 횃불, 전등 등 다양한 극 중 환경을 표현하며 극의 전개에 따라 불안감, 긴장감, 평안함, 계절감, 새벽, 밤 등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각 슛(Shoot:촬영을 시작하는 일)마다 렌더링하여 동영상으로 만들고 애니메이션감독, 애니메이션맵핑원, 애니메이션...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4143]만화가 및 만화영화 작가
- 표준직업분류 :
- [2843]만화가 및 만화영화 작가
- 표준산업분류 :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조사연도 :
- 2012년
-
풍년화삽목하여 증식하나, 발근율이 좋은 편은 아니다. 재배특성 전정이 가능하며 이식도 용이하다. 용도 • 이른 봄 잎보다 먼저 피는 황색의 꽃이 아름다워, 계절감을 줄 수 있는 나무로 정원이나 공원에 식재하면 좋다. 또한 생화용으로 쓰인다. 유사종 • 중국 풍년화 : 꽃색이 진함. • 서양풍년화 : 잎은 거꿀달걀모양...
- 분류 :
- 장미목 > 조록나무과 > 풍년화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Hamamelis japonica Siebold & Zucc.
- 개화기 :
- 4월
-
통영지도 統營地圖, Map of Tongyeong주변의 섬과 해역(海域)을 부감한 시점으로 그리고 회화적 요소를 사용하여 상세하고 정밀하게 묘사되었기 때문에 지역의 모습을 한 눈에 보여준다. 특히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수종의 나무 표현으로 보아 당시 경상우수영에 파견되었던 화원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통영의 속진에 해당하는 구소비진, 가...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72년(고종 9)
- 성격 :
- 지도, 고지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축
- 간행/발행 :
- 경상감영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용주사 병풍 사곡병풍(四曲屛風), 龍珠寺 屛風보기 어려운 요소이다. 제4첩에는 화면 우측의 바위를 중심으로 국화꽃이 자라고 있으며 윗부분에는 붉은색이 감도는 단풍나무가 그려져 있어서 가을이라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바탕의 박락이 심하게 진행되고 채색이 희미해져서 그림의 내용이나 화풍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다. 특징...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