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인선 京仁線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역과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개설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로 서울특별시 구로역에서 인천광역시 인천역 간의 총 연장 27.0㎞의 복복선철도이다. 경인공업지대를 관통하면서 화물과 여객을 수송하고 있으며 수도권 운송 체계의 중요한 축에 해당한다. 형성 및 변천 1896년(고...
- 유형 :
- 지명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
-
경인선 개통 철도의 도입과 가속화된 일본의 침탈배경 1897년 인천 우각현에서 경인선 공사를 시작하다. 1899년 경인철도회사의 부설권 인수로 자금 부족으로 중단되었던 공사가 재개되다. 1900년 경인선 철도가 완전 개통되다. 설명 – 〈독립신문〉, 1899년 9월 19일자 화륜거(火輪車) 구르는 소리는 우레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거의 굴뚝 연기는 반공에...
- 시대 :
- 1899년
-
경인선 부평역 크레인 전복 사고철도 사고 정보 경인선 부평역 크레인 전복 사고(京仁線富平驛起重機顚覆事故)는 2015년 9월 16일 오후 2시 35분경에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2동 경인선 부평역 인근 재건축 빌라 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크레인 2대가 전복되어 전차선이 파손된 사고이다. 이 사고는 2015년 9월 16일 오후 2시 35분 경에 부평2동 부평...도서 위키백과
-
경인철도합자회사 경인철도인수조합, 京仁鐵道合資會社개설 이 회사는 1897년 경인철도인수조합(京仁鐵道引受組合)을 토대로 1899년 설립되어, 1899년 9월 경인선을 완공하였다. 경인선은 수도 서울과 최대 항구인 인천항을 연결하는 우리 나라 최초의 철도이다. 내용 일본 정부는 1896년 미국인 모어스(J. R. Morse, 毛於時)가 확보한 경인철도부설권을 매수하기 위해 일본...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부천시 富川市군현제 개편 때 부평도호부가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부평군, 1896년에 경기도 부평군이 되었다. 1899년에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부천지역에 소사역을 두었다. 1914년 군면폐합 때 개항장을 인천부로 지정하고, 인천부의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 전역, 강화군·남양군 일대를...
- 위치 :
- 경기도 서부
- 인구 :
- 778,874 (2024)
- 면적 :
- 53.4㎢
- 행정구역 :
- 10개 행정복지센터, 36개동
- 사이트 :
- http://www.bucheon.go.kr/
-
-
부천시 富川市개칭되었다. 조선조에 와서 도호부로 내려오던 부평이 1895년(고종 32)에 군으로 강등되어 인천부에 속했다가 1896년에 경기도로 이속되었다. 1899년 경인선철도가 부설됨에 따라 부천지역에 소사역이 설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인천부는 개항장에 한정되고, 그 나머지 지역과 부평부 그리고 남양군의 영흥면...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제물포역 濟物浦驛, Jemulpo station변천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의 중간역으로 1959년 7월 1일 보통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1년 8월 1일 역원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63년 1월 29일 운전간이역으로 변경하였고, 1964년 2월 20일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65년 1월 12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고, 1974년 8월 1일 서부역사를 신축 준공...
- 시대 :
- 현대
- 성격 :
- 철도역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1만 2913.60㎡
- 소재지 :
-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 1동 649-9
- 분야 :
- 경제·산업/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