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부고속도로 京釜高速道路
    경부고속도로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인 데서 이름 붙여졌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인터체인지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 이르는 고속국도 제1호로, 폭 22.4m, 길이 417.4㎞의 왕복 4~8차선 도로이다. 이 길은 1968년 2월 1일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 구간 왕복 4차선 도로로 준공되었다. 197...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경부고속도로 京釜高速道路, Gyeongbu Expressway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를 잇는 한국의 고속국도 제1호. 1968년 착공하여 1970년 완공되었다. 경인고속도로와 함께 1968년 12월 21일 잠원 나들목~수원 나들목 구간이 첫 번째로 개통되었다. 총 길이는 415.42㎞이며, 서울 및 수도권 대도시들과 대전·대구·울산 등 전국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개요 대한민국의 고...
    유형 :
    고속국도
    지역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길이 :
    415.4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통
  • 경부고속도로 (관련어 경부 고속도로) Gyeongbu Expressway, 京釜高速道路
    정리 필요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 - 사용 기간 1983년 ~ 1997년 노선명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제1호선) 기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 혹은 경부고속국도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
    도서 위키백과
  • 경부고속도로 서울·부산간고속도로, 京釜高速道路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개설 고속국도 제1호선이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기간인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에 완공되었으며, 1971년 8월 31일에 노선이름이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1968년 개통된 서울·인천 간의 경인고속도로에 이어 한국에서는 두번째로 건설된 ...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경부 고속 도로 京釜 高速 道路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개설] 경부 고속 도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하고, 양산, 언양, 경주, 대구, 김천, 대전, 수원 등을 연결하며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중추적 고속 도로이다. 거의 모든 구간이 아시아 고속 도로 제1호선에...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 Gyeongbu Expressway 경부고속도로, 京釜高速道路
    The Gyeongbu Expressway (; Gyeongbu Gosokdoro) (Asian Highway Network ) is the second oldest and most heavily travelled expressway in South Korea, connecting Seoul to Suwon, Daejeon, Gumi, Daegu, and Busan. It has the route number 1, signifying its role as South Korea's most important expressway....
  • 경부고속도로 개통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됐다. 고속도로 건설은 1967년 대선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공약한 사항이다. 박정희는 착공한 지 2년 5개월 만에 경부고속도로를 완공했다. 경부고속도로는 전국을 1일 생활권으로 바꾸고, '경제 대동맥'으로서 물류혁신에 기여한다. 그러나 군사 작전을 하듯 밀어붙여 짧은 시간 안에 완공하는 과정...
    시대 :
    1970년 7월 7일
    국가/대륙 :
    한국
  • 경부고속도로의 역사
    경부고속도로의 역사는 경부고속도로의 건설 및 개통 등의 과정을 거치는 변천사를 가리킨다. 대전광역시 동구, 충청북도 옥천군과 영동군 곳곳에는 구 경부고속도로가 남아 있으며 이중 일부는 현재도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는 구 경부고속도로의 사진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기 전 부산과 서울을 통행하는...
    도서 위키백과
  •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화재
    사건 정보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화재 사고는 2016년 10월 13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언양 분기점에서 울산 나들목 방향으로 가는 관광버스가 가드레일과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탑승객 20명 중 10명이 사망하고 중상자 1명을 포함해 7명이 부상당했다. 2016년 10월 13일 22시 10분에 울산...
    도서 위키백과
  • 세종포천고속도로 Sejong–Pocheon Expressway, 世宗抱川高速道路
    착공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서울북부고속도로 주식회사이다. 시점은 강변북로와 연결된다. 세종 ~ 구리 구간은 서울세종고속도로 또는 제2경부고속도로 등으로 불려 왔으며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의 통행량을 분산하기 위해 계획된 구간이다. 이 중 안성 ~ 구리 구간은 2016년 12월에 착공되어 2025년 1월 1일에는...
    도서 위키백과
  • 한남대교 제3한강교, 漢南大橋
    개설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에 진입하는 진입로 역할을 해주는 교량으로서 경부고속도로 및 강남권을 서울 도심과 연결해 준다. 1960년대 경제개발과 함께 본격적으로 건설 공사가 시작된 이후 건설된 한남대교는 서울의 강남 · 여의도 · 강동 등 서울의 외곽지역 개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중부고속도로 中部高速道路
    한계능력을 넘어섬에 따라 서울-대전간의 교통량을 분산시켜 자동차 고속교통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간의 균형적인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건설되었다. 1985년 4월에 착공, 1987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경부고속도로 연결부까지의 123.6㎞ 구간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교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5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