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률, 규정, 약속 등에 따른 우리말, 얼마나 빨리 걸으면 뛴다고 할 수 있나
    걷기와 뛰기의 기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뛰기에서는 두 발이 모두 땅을 딛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걷기에서는 두 발이 모두 땅에 닿는다. 그래서 경보(競步) 대회에서는 '어느 한쪽의 발이 항상 지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다. 이를 어기면 뛰는 것으로 본다. 발을 옮기는 동안, 전진한 발이 뒷발...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경보 競步, race walk
    낼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허리·발목 등을 중심으로 전신에 걸쳐 유연성이 우수한 것도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이 밖에 속도화 되어가는 경보에 있어서는 속력이 뛰어나고 어느 정도까지 근력을 올리는 것도 유리하다. 종목으로는 5,000m, 1만m, 20㎞, 50㎞가 있는데, 올림픽대회 및 세계선수권대회 등...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체육
  • 경보 競步, race walk
    경보는 두 발을 지면에서 동시에 떨어뜨리지 않고 나아가는 경기이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을 요한다. 12~13세기경 영국에서 하인이 주인의 마차를 뒤따라 걷거나 뛰며 쫓아다니던 것이 그 효시이며 18세기에 스포츠 경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1866년 영국에서 7마일(약 11,265m) 경기가 등장하였고, 3,500m와 10마일(약...
    올림픽 경기 종목 :
    Y
  • 경보 競步, walking
    한쪽 발이 항상 땅에 닿아 있어야 한다. 영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와 올림픽 대회에서는 무릎을 곧게 편 채로 발을 땅에 내디뎌야 한다. 경보가 스포츠로 자리를 굳힌 것은 19세기 후반이지만, 개인이 걷기에서 놀라운 기록을 달성했다는 이야기는 훨씬 오래전부터 문헌에 기록되어 있었다. 1866년 영국의 아마추어 육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스포츠 일반
  • 경보 (육상 경기) Racewalking, 競歩
    경보(競步, racewalking, 문화어)는 정확한 걸음걸이로 누가 얼마나 빨리 걷느냐 하는 것을 겨루는 경기이다. 마라톤처럼 도로나 트랙에서 하는 도보 경기로, 한쪽 발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다른 발이 땅에 닿게 하여 무릎을 편 자세로 앞으로 나아간다. 상체를 똑바로 하고, 앞으로 내민 발이 땅에 닿을 때에는 무릎...
    도서 위키백과
  • 경보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경보(慶甫, 869년~948년)는 신라(新羅)말 고려(高麗) 초기(草奇)의 승려(僧侶)이다. 경보(警報)는 위험에 미리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경보(競步)는 육상 경기의 하나이다. 경보(慶普, ? ~ ?)는 전한 후기의 유학자이다. 경보(慶補, 1323년 ∼ 1406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육상 로드레이스 陸上 - 競技, Athletics road race
    경주로이자 그 주로를 달리는 경기 명칭이다. 오늘날 경기장을 뜻하는 스타디움은 바로 스타디온에서 유래된 것이다. 로드 레이스에는 크게 마라톤과 경보(race walk, 競步)가 있다.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그리스와 페르시아 전쟁에서 필리피데스가 그리스의 승전보를 알리기 위하여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려왔다는...
    종목 :
    남녀 마라톤, 남녀 20km 경보, 남자 50km 경보
    채택 :
    1896년 1회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 개수 :
    5개(남녀 마라톤, 남녀 20km 경보, 남자 50km 경보)
    국제경기 :
    올림픽,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IAFF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4대 마라톤 대회(보스턴, 뉴욕, 런던, 로테르담) 등
    주요선수 :
    우고 프리게리(이탈리아, 경보), 손기정(한국, 마라톤), 비킬라 아베베(에티오피아, 마라톤), 황영조(한국, 마라톤), 로베르토 코르제니오프스키(폴란드, 경보), 헤페르손 페레즈(에콰도르, 경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