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신물경속 (바둑용어) 愼勿輕速바둑에서, '위기십결(圍棋十訣)'의 하나로 가볍게 생각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경계하는 격언. 어떤 경우에도 경거망동하지 말고 신중하라는 의미이다. '위기십결'은 대국에 임할 때의 마음가짐과 전략에 대한 교훈을 담은 열 가지 비결을 말한다. 부득탐승(不得貪勝)·입계의완(入界宜緩)·공피고아(攻彼顧我...
-
을사늑약과 시일야방성대곡 지지실을 수 있었다. 두 가지 뒷이야기가 있다. 장지연의 글 이후 ‘개돼지만도 못한 놈’이란 욕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한편 일본인이 경영하던 〈대한일보〉는 이를 경거망동이라 했고, 〈제국신문〉은 “한 때의 분함을 참으면 백 년 화근을 면하리라”는 논설을 실었다. 언론도 언론 나름인 것은 예부터 그랬던 모양...
- 간행/발행 :
- 대한매일신보(1905년 11월 21일)
-
유영순 순지(詢之), 柳永詢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사성·장령(掌令)·집의(執義)·동부승지·우승지를 역임하였다. 1595년에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는데 가속(家屬)을 도내에 유치, 경거망동하고 또 수령을 통솔할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대간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이듬해 병조참지로 기용되어 해서(海西)·관서(關西) 사이의 관문인...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52년(명종 7)
- 사망 :
- 1630년(인조 8)
- 경력 :
- 황해도관찰사, 성주목사, 경상도관찰사, 한성부윤, 호조참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원주민란 原州民亂하였다. 안핵사의 보고에 따라 조정에서는 반가(班家)를 훼손, 파괴하고 영령(營令)을 어긴 읍속수교(邑屬首校) 장붕기(張鵬基)를 효수하여 목민들의 경거망동을 막으려 하였다. 그리고 난민과 함께 행동한 송원옥(宋元玉)ㆍ곽재린(郭在麟)ㆍ김사륜(金思輪)ㆍ정해수(鄭海壽)ㆍ이흥세(李興世)ㆍ원명규(元命圭) 등은 엄형...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85년(고종 22)
- 성격 :
- 민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김선근, 송원옥, 곽재린, 김사륜, 정해수, 이흥세, 원명규, 김택수, 이승여
- 관련 장소 :
- 강원도 원주목
-
이공윤 李公胤경종 4) 광흥창봉사로 있으면서, 왕의 병환으로 임시 설치한 의약청(議藥廳)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진찰시에 여러 번 불참하거나 지각을 하였으며 성품이 경거망동하고 불성실하였으므로 벼슬을 삭탈당할 뻔하였다. 경종이 죽을 때에도 여러 의원들과 함께 의약청에서 어떠한 약을 어떻게 쓸 것인가를 논의하였으나 다른...
- 시대 :
- 조선 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광흥창봉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의관
- 성별 :
- 남
- 분야 :
- 과학/의약학
-
상미일 첫 양날, 上未日같은 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첫 염소날에 특기할 만한 민속은 거의 없으나, 전라남도 지방에서 염소는 방정맞고 경솔하다 하여 이 날 출항을 삼가는 곳도 있다. 경거망동하면 바다에 나가서 해난을 만난다고 믿기 때문이다. 제주도에서는 ‘미불복약(未不服藥)’이라 하여 환자라 해도 약을 먹지 말라고 한다. 이 날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진수해범 進修楷範帝) 때의 범아부(凡亞夫), 동한(東漢)의 마원(馬援)과 공융(孔融) 등 고대 명장들의 행적을 인용, 설명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람이 어려운 때를 당해 경거망동하지 말고 진지하게 계교를 모색, 침착하게 대처할 것을 강조하였다. 조행의 「수책(受責)」에서는 성현들의 훈화를 인용, 누구나 남을 책망하기는 쉬워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유운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설을 쇠다삼감으로써 1년 내내 아무 탈이 없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서였다. 따라서 이날은 바깥출입을 삼가고 집 안에서 한 해의 안녕을 빌었다. 그래서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다’라는 글자인 ‘신(愼)’을 써서 ‘신일(愼日)’이라고도 부른다. 그밖에도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따위의 명칭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