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결실 缺失, deletion
    단일염색체에 있는 1개의 완(腕)이나 완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결실은 염색체의 일부가 없어진 것으로, 개체에 심각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묘성증후군(Cri du chat syndrome)과 스미스마제니스증후군(smith-magenis syndrome)을 들 수 있다. 묘성증후군(고양이 울음 증후군)은 5번 염색체의 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fructification 결실 자실체형성, 結實
    열매가 형성되는 것. 대부분 수분(受粉)에 의해 자방이 커져서 과실이 된다. 수정에 의해 배주(胚珠)가 발육하고 과실 내부에 종자가 된다.
  • 결실 缺失, deletion
    유전물질(유전자 또는 염색체)의 일부분이 결핍된 돌연변이의 하나.
  • 과원 결실 관리
    그 결과 개화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주두 조직이 갈변, 경화된다(그림 5-2-④, ⑤). 수분이 이루어지더라도 화분발아와 신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실이 되지 않는다. 암술의 수정 가능 기간은 보통의 기상조건에서 개화 후 3∼4일까지이다. 개화 기간 중 고온 건조하면 이보다 단축되고, 저온다습 조건에서는...
    도서 | 태그 산업 , 과일
  • 결혼은 사랑의 결실인가 호가스 ‘결혼 계약’과 헤겔 ‘법철학’
    결혼에 대한 기대와 실망 흔히 연애를 시작했다고 하면 남자 친구들은 “그 여자 예뻐?”라고 묻고 여자 친구들은 “그 사람 뭐해?”라고 묻는다고 한다. 단순히 우스갯소리로 치부할 수 없는 슬픈 진실이 담겨 있다. 남성이 여성의 외모를 중시하고, 여성이 남성의 재력을 기준으로 결혼할 상대를 고르는 현상은 이제...
  • 감 재배, 수분과 결실관리 재배기술
    세력이 약한 나무에서는 봉오리솎기를 일찍 하여 수세를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 착과량이 많을수록 뿌리 생장이 감소하므로, 꽃봉오리솎기를 하여 나무의 결실 부담을 일찍 줄이면 뿌리 활력과 양분 흡수가 좋아진다. 마. 봉오리솎기의 전제 조건 봉오리솎기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나무 세력이 너무 강하지 않아야...
    도서 감 재배 | 태그 식물 , 산업 , 과일
  • 사과재배, 결실에 미치는 요인
    사과의 결실관리는 고품질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충분한 결실량을 확보하여야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실량의 확보는 전년도의 기상, 병해충방제에 의한 건전한 잎의 보호, 알맞은 결실조절 등에 의해 꽃눈형성이 정상적으로 될 때 이루어지며, 고품질 과실의 안정생산은...
    도서 사과재배 | 태그 산업 , 과일
  • 복숭아 재배, 결실 조절 결실 관리
    150g 정도의 과실 무게 차이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과실 크기를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꽃봉오리 솎기를 한 나무와 그렇지 않은 나무에 대하여 결실이 안정된 만개 후 40일경에 잎 면적을 비교해보니 초기 발생된 잎의 크기 및 두께는 꽃봉오리 솎기를 한 나무의 것이 더 크고 두꺼웠으며 새가지의 발육...
    도서 복숭아 재배 | 태그 산업
  • 사과재배, 결실확보 대책
    집약도가 높은 작업에 속하지만 방화곤충의 비래가 문제되는 지역이나 개화기 저온, 강풍, 강우 등으로 방화곤충의 활동이 어려울 때, 또는 서리 피해에 의해 결실확보가 어려울 때, 그리고 수분수가 없거나 불합리하게 재식되어 있을 경우 안정적 결실확보가 가능하다. 인공수분은 위와 같은 조건에서 결실률이 높으며...
    도서 사과재배 | 태그 산업 , 과일
  • 사과재배, 결실저해 요인
    꽃눈형성 불량 정상적인 결실은 전년도 꽃눈형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 가능하며, 꽃눈형성은 기상요인과 여러 가지 재배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 꽃눈형성을 저해하는 기상적 요인은 꽃눈분화기에 과다한 강우와 일조 부족에 의한 새 가지의 과번무, 여름철 야간의 고온에 의한 호흡량의 과다로 탄수화물의...
    도서 사과재배 | 태그 산업 , 과일
  • 22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증후군 CATCH22
    정의 22번 염색체 미세결실 증후군은 CATCH22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이 명칭은 심장 기형(Cardiac defect), 비정상적 얼굴 모양(Abnormal face), 흉선 형성 부전(Thymic hypoplasia/aplasia), 구개열(Cleft palate), 저칼슘혈증(Hypocalcemia), 22q11.2 deletion의 약어로, 특징적인 임상 소견을 가진 22번 염색체...
    분류 :
    유전질환
    발생 부위 :
    전신
    증상 :
    눈 사이가 멀어보임, 얼굴형태의 이상, 음낭에 없는 고환,부고환, 입술, 입천장의 기형, 잦은 감염, 잦은 상기도 감염, 척추 측만, 청력장애, 행동장애
    진료과 :
    의학유전학과
    관련 질환 :
    팔로 사 징후, 18번 염색체 단완결실 증후군, 18번 염색체 장완결실 증후군, 엔젤만 증후군, 묘성 증후군, 프라더 윌리 증후군 , 스미스-마제니스 증후군 , 윌리암스 증후군 , 4번 염색체 단완결실 증후군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4번 염색체 단완결실 증후군 Wolf-Hirschhorn syndrome
    정의 4번 염색체 단완결실 증후군은 월프-허쉬호른W(olf-Hirschhorn) 증후군이라고도 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1965년에 월프와 허쉬호른이 처음 발표한 질환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증후군은 4번 염색체 단완의 부분결실 때문에 발생하며, 안면 기형 및 심한 발달 지연, 정신 지체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분류 :
    유전질환
    발생 부위 :
    전신
    증상 :
    귀 모양의 변형, 사시, 얼굴모양변화, 요도가 아랫쪽에 위치
    진료과 :
    의학유전학과
    관련 질환 :
    18번 염색체 단완결실 증후군, 18번 염색체 장완결실 증후군, 22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증후군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4건

결실 (deletion)
지네발란, 종자 결실
약난초, 종자 결실
대흥란, 종자 결실
천마, 종자 결실
자란, 종자 결실
새우난초, 종자 결실(미숙)
비비추난초, 종자 결실
홍산무엽란, 종자 결실
잠자리난초, 종자 결실
병아리난초, 종자 결실
큰방울새란, 종자 결실
으름난초, 종자 결실
타래난초, 종자 결실
방울새란, 종자 결실
감자난초, 종자 결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