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견종법 畎種法
    밭[旱田]농사에서의 파종법의 하나.|밭을 견(畎 : 밭고랑)과 무(畝 : 밭이랑)로 다스리고 종자를 밭고랑(이랑과 이랑 사이에 있는 골)에 뿌리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이랑 위에 파종하는 것을 농종법(壟種法), 이랑을 만들지 않고 평지에 파종하는 것을 만종법(縵種法)이라고 한다. 견종법을 사용하는 작물은 보리, 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견종법 畎種法
    밭을 갈아 이랑과 이랑 사이에 고랑을 만들고 고랑에 작물의 씨앗을 뿌리는 파종법.|내용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이랑 위에 파종하는 농종법(壟種法)이나 이랑이나 골 없이 땅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흩어 뿌림하는 만종법(縵種法)과 구별된다. 파종법은 기본적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고려하거나...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농종법 (관련어 견종법) 壟種法
    농작물 파종법의 하나.|밭의 이랑(두둑)을 만들고 그 이랑 위에 골뿌림[條播]하거나 점뿌림[點播]하는 방법이다. 이와는 달리 이랑을 만들고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溝]에 파종하는 것을 견종법(畎種法)이라 하고, 전혀 이랑을 짓지 않고 밭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흩어뿌림[撒播]하는 파종법을 만종법(縵種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농종법 壟種法
    내용 이와 반대로 이랑을 만들고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溝]에 파종하는 방법을 견종법(畎種法)이라고 하고, 전혀 이랑을 짓지 않고 밭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흩어 뿌림[撒播]하는 파종법을 만종법(漫種法)이라고 한다. 이 세 가지 파종법은 작물이나 파종시기, 그리고 토양의 조건과 노력 형편 등에 따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대전법 代田法
    대전법의 장점으로 위의 사항 외에도 대전은 고랑 안에 일정하게 파종하므로 곡의 숙성이 일정하며 시비도 묘근 부분에 집중적으로 고르게 할 수 있다는 점, 또 앉아서 짧은 호미로 제초해야 하는 만전에 비해 장병서(長柄鋤)로 서서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높고, 파종 때 종자도 절약된다는 점을 들었다.→ 견종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만종법 漫種法
    그러나 옛 농서(農書)의 풀이는 파종할 토양의 지형을 기준으로 이랑을 지어 그 위에 파종하는 방법을 농종법(壟種法)이라 하고 골에 파종하는 방법을 견종법(畎種法)이라 한다. 이랑이나 골이 없는 평평한 밭에 오늘날의 흩어뿌림과 같이 파종하는 방법을 만종법(縵種法) 또는 만종법(漫種法)이라 한다. 여기의 만(縵...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조영국의 업적
    등과 함께 당상이 되어 감필로 생긴 약 100만 냥의 재정결손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결미절목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급대책을 제정했다. 한편 당시 이앙법·견종법 등 새로운 농법이 확산되어 농업생산력이 높아지고 새로운 농법과 관련된 농서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농사총론〉을 저술했다. 그는 이 책에서 천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경영형부농 經營型富農
    것도 점차 어려워지면서 견실한 소작인들은 차지(借地)에서 유리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한편 수도작에서의 이앙법과 수전이모작(水田二毛作)의 전개, 맥작에서의 견종법 출현 등을 통해 부지런한 농민들은 노동력을 절감하여 소출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절약된 노동력을 바탕으로 경영규모의 확대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파종 播種
    파종하는 농종법(壟種法)으로 발전되다가 월동작물에 있어서는 겨울철 작물의 동사(凍死)와 봄철의 가뭄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견종법(畎種法)으로 분화되었다. 이와 같은 파종법의 발달은 쟁기의 사용과 더불어 발전된 것으로, 『농사직설(農事直說)』에 따르면 15세기 초에 이미 농종법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임원경제지 / 견종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