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견종법 畎種法밭을 갈아 이랑과 이랑 사이에 고랑을 만들고 고랑에 작물의 씨앗을 뿌리는 파종법. 내용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이랑 위에 파종하는 농종법(壟種法)이나 이랑이나 골 없이 땅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흩어 뿌림하는 만종법(縵種法)과 구별된다. 파종법은 기본적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고려하거나...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농종법 壟種法내용 이와 반대로 이랑을 만들고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溝]에 파종하는 방법을 견종법(畎種法)이라고 하고, 전혀 이랑을 짓지 않고 밭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그 위에 흩어 뿌림[撒播]하는 파종법을 만종법(漫種法)이라고 한다. 이 세 가지 파종법은 작물이나 파종시기, 그리고 토양의 조건과 노력 형편 등에 따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만종법 漫種法그러나 옛 농서(農書)의 풀이는 파종할 토양의 지형을 기준으로 이랑을 지어 그 위에 파종하는 방법을 농종법(壟種法)이라 하고 골에 파종하는 방법을 견종법(畎種法)이라 한다. 이랑이나 골이 없는 평평한 밭에 오늘날의 흩어뿌림과 같이 파종하는 방법을 만종법(縵種法) 또는 만종법(漫種法)이라 한다. 여기의 만(縵...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파종 播種파종하는 농종법(壟種法)으로 발전되다가 월동작물에 있어서는 겨울철 작물의 동사(凍死)와 봄철의 가뭄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견종법(畎種法)으로 분화되었다. 이와 같은 파종법의 발달은 쟁기의 사용과 더불어 발전된 것으로, 『농사직설(農事直說)』에 따르면 15세기 초에 이미 농종법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