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겨리
    소 2마리를 결합한 것을 말하며 반드시 이웃집 소를 합하여 조직하는 것은 아니었다. 소 2마리를 지닌 한 집만으로 소겨리를 조직하기도 했는데 이것을 '독겨리'라 불렀고, 부농층에 많았다. 소 한 마리씩 가지고 있는 두 집만으로 조직하는 소겨리를 '쌍겨리' 또는 '맞겨리'라고 하며 중농층에 많았다. 소 있는 집과 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나주 농사짓기 소리 김매기 소리
    주가 되어 있는데 중간에 3분박 4박자가 끼어 있다. 김을 매는 사람들이 두 패로 나뉘어 한 패가 "…헤이 헤이 헤라 돈 겨린가/소식이 좋아 어허 에라 돈 겨리라"하고 부르면 다른 한 패가 다음 마루를 부른다. 가락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이고 '솔'로 끝나는 경토리로 되어 있어 경쾌하고 흥겹게 들린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쟁기
    구주지방 및 가나이지방(幾內地方)에 들어왔다.”라고 하였다. 쟁기는 호리라 하여 흔히 한 마리의 소가 끌지만, 거친 땅에서는 두 마리를 나란히 세우는데 이를 겨리라 부른다. 겨릿소 가운데 앞을 향하여 왼쪽 소가 안소, 오른쪽 소가 역소이다. 땅을 갈 때 볏밥이 왼쪽으로 넘어가므로 안소는 힘 좋은 예닐곱살의 소...
    성격 :
    생활용품, 농기구
    유형 :
    물품
    용도 :
    논밭갈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멍에 yoke
    경우 소를 말로 대체하게 되었다. 그러나 세계의 몇몇 지역에서는 아직도 중세 유럽에서처럼 소에 멍에를 얹어 부린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멍에에는 곧은 멍에와 굽은 멍에가 있다. 곧은 멍에는 겨리(소 2마리가 끄는 커다란 쟁기)를 메울 때 사용하며, 굽은 멍에는 호리(소 1마리가 끄는 쟁기)나 달구지를 끌 때 사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멍에
    를 ‘멍에 메오다’로 새겼으며, 그 뒤의 문헌들도 모두 멍에로 적었다. 멍에에는 일자형으로 곧은 것과 반원형으로 굽은 것의 두가지가 있다. 곧은 멍에는 겨리쟁기를 메울 때 쓰며, 굽은 멍에는 한마리가 쟁기나 달구지를 끌 때 쓴다. 멍에를 거는 불룩 솟은 목뼈 부분을 멍에목이라고 하며, 말에게 마차를 끌게 할 때...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용도 :
    농사용
    분야 :
    생활/주생활
  • 봄밭갈이
    심는 체계와 심는 방식에 따라 따비, 쟁기, 극젱이, 가래, 쇠스랑, 괭이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다. 북부지방과 강원도 산간에서는 소 두마리가 쟁기를 끄는 겨리라고 부르는 밭갈이가 행해지기도 했다. 보통 밭갈이는 두 번 나누어 이루어지는데, 작물을 심기 훨씬 전에 한 번, 심기 직전에 고랑과 이랑을 만들면서 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산업
  • 밭가는소리
    마르고 숨두 차니 담배 한 대 태우구 가자 와아! (1994 /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초현리 / 김인환) 노랫말 중에서 ‘안소’와 ‘마라소’는 소 두 마리(이를 ‘겨리’라 한다)를 몰아갈 때 왼쪽 소와 오른쪽 소를 구별하여 부르는 말이다. 위 노래는 강원도의 전형적인 밭가는소리 노랫말이다. 현황 밭가는소리는 오늘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Job (biblical figure), ヨブ
    에돔', '아라비아 사막 북부 지역'에 위치하였을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우세하다.서적 인용 아들 일곱, 딸 셋, 양 칠천 마리, 낙타 삼천 마리, 소 오백 겨리, 암나귀 오백 마리, 많은 수의 종들 욥은 족장 시대에 우스 땅에서 살았던 온전하고, 정직하며, 하나님을 경외하여 악에서 떠난 인물이다. 동시에 동방 사람 중...
    도서 위키백과
  • 화물차운행일지 貨物車運行日誌, baggage vehicle log
    일별로 확인할 수 있어 화물차 운행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화물차의 운행 내용을 바탕으로 화물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있다. 구성항목 수송계획서상, 수송물자, 화물적재운행구간, 연겨리, 운송료, 미수 운송료 정리일자, 운행시간, 기타사항, 오토메타, 주유사항, 운행수익, 운행비용, 참고사항
    분류 :
    생활/일반서식 > 교통/통신서식
    도서 예스폼서식사전 | 태그 서식
  • 포천메나리
    산에 올라갈 때 부르는 자진아리와 지게에 짐을 지고 산을 내려오며 부르는 '지게꾼소리'가 있으며, 소를 몰아 논을 갈 때부르는 써레질소리로 '호리소리(외겨리)'가 있다. 모심기에는 '열소리'를 하는데 경기지역에 널리 불리는 하나소리 계열이다. 첫 번째 논매기인 '아이논 매기'는 호미로 하는데, 이때는 '긴방아...
    도서 위키백과
  • 화전농업 Slash-and-burn, 焼畑農業
    지나면 이에 속했다. 산전은 영구 화전화한 결과 비옥도가 일반 토지와 크게 차이가 없게 된 것으로, 화전민들은 급경사지에서도 소 두 마리를 사용하는 겨리쟁기[二頭牛犁]로 수평 경운을 했다. 화전의 수확량은 첫 해에는 보통 밭의 소출과 거의 같으나 2년째 이후로는 현저히 감소하여 3~4년이 지나면 1/5로 격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