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횃불싸움 홰싸움
    '홰싸움'이라고도 하며, 강릉을 비롯한 영동지방과 함경도 및 경상도 동해안에서 성행하던 놀이이다. 홰는 흔히 겨릅대나 싸릿대 또는 시누대로 만들며 관솔을 섞어서 단단히 묶고 끝에는 밀랍이나 기름을 먹인 솜뭉치를 함께 잡아맨다. 정월 대보름 아침부터 젊은이들이 여러 개의 홰를 만들어 달이 떠오를 무렵이 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통가리 발가리
    때에는 가는 나무들을 양끝에 덧대어 넓히기도 한다. 여름에는 이것을 펴서 발처럼 여러가지 곡물을 말리는 데에 쓴다. 밤우리도 통가리의 한가지이다. 겨릅대를 칡으로 엮어 둥글게 둘러친 것으로 통가리보다 좁고 높다. 이것은 집 밖에 세워두므로 비가 스미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청밀짚으로 짠 용수 모양의 모자를...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재질 :
    쑥대, 싸리, 뜸
    용도 :
    곡물 저장, 건조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조선발
    현재는 비닐이나 합성수지로 만든 것도 생산된다. 고추나 목화 따위의 농산물을 널어 말리는 발은 주로 싸리로 엮으며, 그 밖에 달풀의 줄기나 대 또는 겨릅대로 만들기도 한다. 특히 목화를 말릴 때 발의 양끝을 무엇에 걸쳐놓으면 위 아래로 바람이 통해서 쉬 마른다. 이것은 비를 맞히지 않으면 오래 쓸 수 있으며...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재질 :
    갈대, 대오리, 비닐, 합성수지
    용도 :
    조리용, 차양용, 장식용, 내외용, 농작물건조용
    분야 :
    생활/주생활
  • 청양 정산 동화제 靑陽 定山 洞火祭
    동화주위를 돌면서 풍물을 치며, 주민들은 동화제에 참여함으로써 액막이가 된다고 여겨 주위에서 이를 지켜본다. 그리고 아이들을 중심으로 싸리나무나 겨릅대를 묶은 것을 가지고 제장 주위에서 쥐불놀이를 한다. 동화가 타면서 넘어지는 쪽 마을에는 그해 질병이나 재난이 따른다는 속신도 있다. 동화제는 본디 이...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마골(麻骨) : 껍질을 벗긴 삼대. 겨릅대.
    유형 :
    옷감이나 길쌈에 관련된 한자
  • 야호 (요괴) Yako (fox), 野狐
    한다. 야코오가 화상 상처나 포창 부스럼을 핥으면 그 사람은 죽는다고 하기 때문에, 포창 환자는 야코오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모기장 안에 넣거나, 주변에 겨릅대 태운 재를 뿌리거나 도검을 두어 야코오의 접근을 막았다고 한다.。 남규슈에서는 사람이 아닌 집안 단위로 야호가 씌인다고 알려져 있으며, 야호가 씌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