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열이 높은 말벌일수록 게으르다?말벌들도 자신들의 지위에 따라 성실성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슬의 높은 곳에 위치해서 자손을 남길 확률이 더 높은 일벌들은 더 낮은 지위의 동료 일벌들에 비해 훨씬 게으르다는 것. 즉 계급이 높은 녀석들은 여왕벌의 유충들에게 제공할 먹이를 구하느라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하기 보다는 둥지에 가만히...
-
포르토프랭스 Port-au-Prince거주하며, 대부분의 문화시설과 국내 유일의 하수체계 등의 공공설비들이 밀집되어 있다. 영세농민들보다 도시 흑인 노동자계층 대부분이 보다 불결하고 게으르다. 중류계층은 거의 없다. 특권층 사람들이 유럽식의 사교 클럽들을 중심으로 오락을 즐긴다. 그러나 부두교 사제의 집이 여전히 도시빈민사회의 중심이며...
- 위치 :
- 서인도 제도 이스파니올라 섬 서부, 고나브 만 남동쪽 연안
- 인구 :
- 1,234,742명 (2020 추계)
- 면적 :
- 36.04㎢
- 언어 :
- 크레올어, 프랑스어
- 대륙 :
- 남아메리카
- 국가 :
- 아이티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아침잠이 많은 사람은 게으르다? 지난 몇 년간 저녁형 인간’에 대해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저녁형 인간=게으르다’는 통념이 깨지고 있다. 오히려 ‘아침형 인간’보다 영리하고 창의적이지만 아침형 생활 리듬에 맞춰진 사회 구조 탓에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비활성 기체별 성질이 수소는 산소를 물로 만들어 제거한 후에 네온을 얻는다. 네온에는 5개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존재한다. 아르곤 가장 먼저 발견된 비활성기체로 그리스어로 '게으르다'라는 뜻의 'argos'에서 이름을 따왔다. 우주상의 원소 중에서 12번째로 많이 존재하는 원소로 지각에 존재하는 동위원소 중에서 아르곤-40(40Ar)이...
-
만 慢옛 뜻은 속도와는 무관한 태만(怠慢), 나태(懶怠)의 뜻이었다. 이러한 만(慢)의 반대말은 경(敬), 또한 속도가 느리다는 면에서는 지(遲)와 비슷한 뜻이나, 행동이 느리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에서는 쾌(快)와 상대되는 말이다. 만유(慢遊) : 여러 곳을 마음 내키는 대로 돌아다니며 놂. 만유(漫遊). 만가(慢舸...
- 유형 :
- 속도에 관련된 한자
-
동사 動詞고치다], 공구다[괴다], 군불다[구르다], 군지렁거리다[구시렁거리다], 까묵다[잊어버리다], 깝치다[재촉하다], 깨라다[열다], 깨배다[깨우다], 깰받다[게으르다], 꼬나다[겨누다], 낑구다[끼우다], 낭구다[남기다], 내시안다[나앉다], 너얼찌다·널찌다[떨어지다], 넘구다[넘기다], 노쿠다[녹이다], 달개다[달래다...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기면증, 밤에 푹 자도 낮에 자주 졸면 수면질환 ‘기면증’ 의심1세 : 14~15시간 - 1~3세 : 12~14시간 - 3~5세 : 11~13시간 - 5~12세 : 10~11시간 - 12~18세 : 8.5~10시간 - 18세 이상 : 7.5시간~9시간 ▶잠이 많으면 게으르다? 뇌에서 잠을 깨우는 호르몬 부족으로 생기는 ‘기면증’ ※ 기면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되는 요인들 - 하이포그레틴 호르몬 부족 - 뇌 활동의 에너지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