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름농작물이 잘 자라도록 땅을 기름지게 만드는 영양물질. 내용 거름은 두엄을 비롯하여 똥·오줌·재·똥재·풀 섞인 것과 깻묵·벽흙[壁土]·썩은 흙·구들미·마름[水藻]·쌀겨·삶은 곡식 등을 썼다. 이 밖에 곳에 따라서는 정어리 등의 생선, 동물뼈와 잎이 많은 부드러운 나뭇가지, 바다풀까지도 이용하였다.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감 재배, 거름주기 施肥管理감나무의 양분 흡수 특성 토심이 깊은 땅에서 자란 감나무는 쉽게 양분 부족이 나타나지 않으나 수세가 약해졌을 때는 거름에 대한 반응이 둔하여 시비효과가 느리게 나타난다. 반면 토심이 얕고 척박한 땅의 감나무는 뿌리가 깊이 뻗지 못하고, 시비가 이루어지는 표토 가까이에 많이 분포하여 시비의 과부족에 따른...
-
-
슬픔만한거름이어디있으랴지방도시 근교에서 살고」등 7편,「조선식 회상」1-14, 「우리는 같은 지붕아래 사는가」1-4 등 25편, 총 78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는 작자가 지닌 확고한 역사의식과 뚜렷한 시대감각을 바탕으로 쓰여진 민중시 계열의 작품집이다. ‘우리는 자연법을 만들고 저들이 실정법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허수경
- 창작/발표시기 :
- 1988년 11월 30일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실천문학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거름통 오줌통, 거름桶가운데가 약간 불룩하고 양 끝이 조금 오물어들었으며 몸통 가운데에 주둥이가 있다. 지게에 얹어 운반할 때에는 짚으로 주둥이를 막는다. 작은 것은 두 말의 거름이 들어가며, 너말들이도 있다. 무게는 3㎏ 내외이다. ② 쪽나무를 둥글게 세워 맞추고 테를 둘러 동인 것으로, 쪽나무 중, 좌우 양쪽의 두개는 다른 것...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사과재배, 시비관리많고 품질이 좋아진다. 사과나무에 대한 시비는 휴면기에 시용하는 밑거름(基肥)과, 생육 중에 시용하는 웃거름(追肥), 과실을 수확한 후에 시용하는 가을거름(秋肥, 禮肥) 등으로 구분한다. 밑거름(基肥) 밑거름은 필요한 비료를 낙엽이 진 후부터 다음 해 봄, 발아 전까지 즉 휴면기에 주는 거름이다. 22년생 사과...
-
-
방울다다기 양배추 재배전후, 본엽 6~7장 때가 정식적기이다. 여름파종재배는 고온과 건조 또는 해충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한랭사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땅 고르기와 거름 주기 양배추에 준하며, 배수에 유의하여 습해를 어떻게 회피하는가가 생산안정의 필수조건이므로 배수대책을 충분히 강구하고 높은 이랑으로 한다. 방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