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대담론 (관련어 거대 담론) Metadiscourse, 元话语
    사회학 거대담론(巨大談論, llang) 혹은 거대서사는 상위범주에 속하거나 포괄적 기능을 가진 담론이다. 담론에 대한 자기지시적(재귀적)인 담론거대담론이 될 수가 있다. 주로 인문·사회·문화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특히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근대 비판과 관련해 생성되었다. "상위의", "상부의", "더 ...
    도서 위키백과
  • 담론 Discourse, ディスクール
    체계화된 말의 총체 미셸 푸코와 그가 영향을 미친 사회 이론가의 저술에서 담론을 "그들이 발언이라는 점에서 연속성, 표지의 실체"라고 서술하였다.서적 인용 독일에서는 위르겐 하버마스가 그의 연구에서 담론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담론을 연구하는 담론 이론은 학제적 성격을 띠고 있다. 거대담론 패러다임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한국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역사용어와 사유체계의 문제
    안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곧바로 그것이야말로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움직이는 거대한 질서요 권력체계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단순한 이념체계를 넘어...25’ 용어 사용 중지와 6·25 기념식 폐지를 주장했을 때 여기에는 ‘6·25담론’에 대한 이성적 논의와 재성찰을 통해 이런 내면의 냉전 사유체계와 사회...
  • 포스트모더니즘 탈근대주의, postmodernism
    프랑스 철학자 엠마누엘 레비나스는 사고의 '전체화' 시스템이라 불렀고, 프랑스 철학자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는 인간 생물학과 역사학, 사회적 발달의 '거대담론'이라고 주장했다. 이 이론들은 거짓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다른 담론이나 전망들에 효과적으로 준거를 부여하기 때문에 유해하다. 이렇게 준거를 부여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1990년대 한국문학사
    1990년대로 넘어오며 한국 사회에는 탈이념화 · 탈정치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인문학적 담론의 무게 중심은 ‘이념’에서 ‘욕망’으로, 거대 담론에서 미시 담론으로, 마르크스에서 푸코와 보드리야르로, 급진적 좌파주의에서 다원주의적 자유주의로 옮아간다. 급진 좌파와 강경 우파, 혁신 세력과 보수 세력...
  • Bridge Over Troubled Water 1970년대 명작 음반
    대한 안티테제로 나온 음반이다. 구심점이 확실했던 1960년대가 붕괴되자 사람들은 급격히 쇠약해졌고, 이내 개인주의로 빠져들었다. 세계 평화와 같은 거대담론은 산산이 공중분해 되고, 사랑이나 우정, 일상의 소소한 풍경과 같은 작은 프레임들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낙관론적 세계관을 모토...
    제작시기 :
    1970년
    가수/연주자 :
    Simon & Garfunkel(사이먼 앤 가펑클)
    제조/수입사 :
    SonyMusic
  • Joshua Tree 1980년대 명작 음반
    아직 살아 있다면, 그리고 그 말의 힘을 여전히 믿는다면, 무엇보다 이 앨범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개인주의와 헤도니즘이 모든 것을 장악하던 시기에 거대담론으로써 록의 부활을, 그 치열했던 과거로의 선회를 주장했던 음반이기 때문이다. ‘마침내 록의 에너지를 건설적인 무엇에 사용하려는, 오랜만에 쏘아올린...
    제작시기 :
    1987년
    가수/연주자 :
    U2(유투)
    제조/수입사 :
    Universal
  • 기업 광고 企業廣告, corporate advertising
    광고가 대부분이었다. 가령 "인간과 호흡하는 기술", "2000년 문명의 실크로드가 다시 열리고 있습니다", "기아에 시달리지 않는 세상" 따위를 앞세우는 거대담론 광고다. 이런 유의 자기중심적 광고가 여전히 만들어지는 한편에선 구성원에게 중요한 가치를 생활 속 이야기로 섬세하게 전개하는 광고가 기업 광고의...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점경 點景
    언술 속에 담긴다. 이는 당대 도시인의 보편적 삶의 양태로서 고독과 방황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페이브먼트’와 같은 생경한 도시성의 언어는 이 시가 거대 담론을 반영했다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표피적인 모더니즘 취향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는 급격한 도시화 비주체적 근대화로 소외의식...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팔양
    창작/발표시기 :
    1933년
    성격 :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실천문학 實踐文學
    현실, 리얼리즘 논쟁을, 1990년대에는 근대성·탈근대성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지방자치시대의 지역성,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 이후 민중성, 거대담론의 위기를 진단하고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조성된 동북아 시대의 평화를 위한 움직임, 미국 주도의 세계...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80. 3~
    성격 :
    잡지, 계간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전예원(1권), 실천문학사(2권 이후)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동래 시집」 東萊 詩集
    이제 나 스스로가 온몸으로 피를 흘리며 투쟁하는 시인으로 살겠다는 정신의 성숙을 맞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특징] 「동래 시집」의 특징은 무엇보다 거대 담론들이 활개를 치던 1970~1980년대 문단에서 ‘철저한 개인’을 그리고자 하였던 윤후명의 독특한 문학적 주제 의식이 구체적인 역사 현장을 이해하는 부분...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구조주의 정치철학 언어와 구조 안의 인간
    대학이나 연구소의 특정 직위에서, 생활에 연관된 문제에서 전문가로서 저항 담론을 형성한다고 하지만 영향력은 매우 미미할 수밖에 없다. 알튀세르가 보기에...권력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점에서 푸코의 이론적 안이함이 있다. 단지 거대한 권력에서 미시적 차원의 권력으로 세분화되었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현실 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