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경궁리 居敬窮理
    주희의 격물치지론은 거경궁리로 요약된다. 현실적 인간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이를 자신에게 보태야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를 탐구함에 앞서 경건함이 요청되어 여기에 거경이 의미가 있다. 수기치인을 그 목표로 하는 유학에서는 객관적 사물의 이를 추구하는 것은 단순한 지식의 축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거경궁리 居敬窮理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추구한다는 뜻으로,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학문수양방법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성리학용어|내용 인식론적인 의미의 궁리와 실천론적인 뜻의 거경을 합하여 거경궁리라고 한다.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에 의해서 경(敬)이 비로소 철학적으로 다루어졌고, 주희(朱熹)에 의해서 ...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수양론 修養論
    性理學)에서인데, 공자가 말한 경(敬)을 중요시했다. 수양·학문의 내용은 〈근사록 近思錄〉에 구체적·체계적으로 보이는데, 이 〈근사록〉을 일관하는 것은 '거경궁리'(居敬窮理)이다. 이것은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한다"는 것으로서 거경궁리에 기초한 수양으로 인욕·물욕을 통해 드러나는 현실적인 악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성리학 주자학, 性理學
    이러한 생활방식을 가지기 위해서 사물에 존재하는 천리를 인식하는 궁리(窮理)와 인욕의 발동을 억제하는 내면적 수양으로서의 거경(居敬)이라는 수양 방법이 제시되었다(거경궁리). 그런데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이의 구체적 내용은 삼강오상을 비롯한 유교적 윤리도덕이었으며, 나아가 관료제적 통치질서, 신분계급적...
  • 퇴도자성록 退陶自省錄
    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대체로 설문(設問)에 따라 답한 것으로서, 심성(心性) · 이기(理氣) ·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거경 · 궁리 · 함양 등의 실행에 역점을 둔 것도 있다. 「답정자중유일(答鄭子中惟一)」에서는 심(心)은 곧 태극이며 인극(人極)이니, 이는 물아(物我) · 내외(內外...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심성론 인성론, 心性論
    내용 존재론인 이기론(理氣論) 및 수양론인 거경궁리설(居敬窮理說)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성리학자들의 심성(心性)에 관한 논의는 주희에 와서 집대성되었고, 그 이전에 맹자의 성선론(性善論)을 중심으로 한 심성 논의가 그 주류를 이루었다. (1) 성즉리(性卽理) 주희(朱熹)에게 있어서 천지자연과 인간 존재...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성학입문 聖學入門
    주었다고 하여 유학을 높이고 있다. 또, 의리로써 맹자가 말하는 양기(養氣)에 힘쓸 것과 과불급(過不及)이 없이 중용의 도를 취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 ‘거경궁리(居敬窮理)’ 4자가 입도(入道)의 문이며 궁리와 함양을 병진해야 성학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성학이 무엇인가를 밝혀, 유학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종덕
    창작/발표시기 :
    1937년
    성격 :
    수양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경상북도 의성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 천인합일설 天人合一說
    사상은 다시 장재(張載)·정이(程頤) 등을 거쳐 주희(朱熹)에 이르러 성리학으로 완성되는데, 주희는 성의 실천과 무욕을 거경(居敬), 우주론을 궁리(窮理)로 집약하여 복성의 방법을 거경궁리로 정리하였다. 한국 유학에서는 천인합일사상보다 더욱 밀도가 높은 천인무간사상(天人無間思想)이 발달하였다. 천인합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주절휘요 朱節彙要
    궁리편(窮理篇)으로 총론·독서·궁격활법(窮格活法) 등의 논술이 있다. 권3은 주경편(主敬篇)으로 총론·조존(操存)·함양·성찰·동정교양(動靜交養)·거경궁리(居敬窮理) 등을 서술하고 있다. 권4는 역행편(力行篇)으로 총론·극기·변화기질(變化氣質)·검신(檢身)·수사(修辭)·응사(應事)·처가(處家)·재용(財用...
    시대 :
    조선
    저작자 :
    유치명
    창작/발표시기 :
    1909년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 조선 성리학의 거두로 추앙받다, 이황 퇴계(退溪), 李滉
    승려 출신이다. 그래서 그들은 불교의 선(禪)이나 정좌(靜坐)에 가까운 거경에 관심을 가졌다. 이른바 존양성찰(存養省察)에 집중한 것이다. 이황은 거경궁리 둘 다 중시했지만, 일본의 유학자들은 이황의 존양성찰에 관한 생활철학을 집중적으로 배워갔다. 조선의 유학자들이 복잡한 이기심성론을 놓고 대립해 당쟁...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김천일 사중, 金千鎰
    과 함께 남강에 투신 자결했다. 그러나 이때 일본군도 병력을 많이 잃어 섬진강을 건너 전라도로 진출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경전을 몸소 실천하고 특히 거경궁리에 힘썼다. 또한 인재의 육성이 치도(治道)의 근본이 되며, 선비의 풍습을 바로잡고 수령을 잘 임명해야 한다는 등 당시 폐단을 개혁하는 방안을 건의...
    출생 :
    1537(중종 32)
    사망 :
    1593(선조 26)
    국적 :
    조선, 한국
  • 하학지남 下學指南
    나오는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이라는 문구에서 땄다. 이 말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깨닫고 쉽게 행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공부하여 격물치지(格物致知), 거경궁리(居敬窮理)하여 높고 행하기 어려운 데까지 이르라는(上達) 뜻이다. 그런데 당시의 학자들은 하학을 천하게 여겨 행실은 보잘것없으면서, 천인성명(天人...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거경궁리
퇴계집(41) / 천명도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