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간 쾌(儈), 居間
    거간(居間)은 각종 상인 또는 일반 공중이 거래할 때 중개를 해 주는 보조 상인이다. 객주와 아울러 한국의 전형적인 중간 상인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거간은 생산자와 상인, 상인과 상인, 상인과 소비자, 국내 상인과 외국 상인 사이에서 거래를 알선하고 그 보수로 돈을 받았다.|내용 거간은 생산자와 상인, 상인과...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거간 居間
    상행위의 중개나 토지와 가옥의 매매·임차·전당의 중개를 직업으로 하는 중간 상인.|객주와 함께 재래의 대표적인 중간 상인으로 생산자와 상인, 상인과 상인, 상인과 소비자, 국내 상인과 외국 상인 사이에 거래를 알선하고 구전을 받았다. 거간은 활동 방법과 취급 상품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었다. 거간이 주거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일반상식
  • 복덕방 부동산중개업, 福德房
    변천 복덕방의 기원은 고려시대 이후의 객주(客主)와 거간(居間)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객주란 원래 객상주인(客商主人)이라 하며 거래를 알선하는 일종의 위탁매매업자를 뜻한다. 객주 가운데 타인간의 거래를 성립시키는 일을 거간으로 칭하였고, 거간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거간중매군(居間仲買群)이라 하였다. 거간은...
    유형 :
    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중개업 仲介業
    적극적으로 중개할 의무를 부담하는 경우로 이는 비법률행위적 사무의 위탁이므로 민법상위탁계약에 준하는 계약이다. 중개인의 전신으로는 거간(居間)을 들 수 있다. 거간은 현행 <상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개인에 비하여 훨씬 포괄적인 뜻을 가진다. 이들은 각종 상거래에 개입하여 흥정을 도맡아 하던 우리 사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공인중개사 公認仲介士
    받아 중개법인을 설립하여 중개업을 할 수 있는데, 상호는 부동산중개회사임을 명시해야 한다. 광의의 중개인으로는 조선시대부터 객주(客主)와 거간(居間)이 있었는데, 거간은 타인들간의 각종 상품이나 토지·가옥의 매매·임대·전당(典當), 또는 사금융의 알선이나 흥정을 붙이는 오늘날의 중개업자였다. 18세기...
    시대 :
    현대
    성격 :
    개념 용어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부동산중개업 不動産仲介業
    건물 등의 부동산에 대하여 거래당사자간의 매매·교환·임대차와 기타 권리의 득실·변경에 관한 행위의 알선·중개를 업으로 하는 직업. 역사적으로는 거간업이 그 기원이 되며, 조선 말기부터는 복덕방이라는 말로 흔히 불렸다. 1983년 <부동산중개업법>이 제정되면서 공인중개사의 자격이 있어야 부동산 거래를 중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동산
  • 개성상인 송상(松商), 開城商人
    결제일 등의 사정에 따라 월 0.75%∼1.50%로 다양했다. 시변제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환 중개인이었다. 환전거간이라고 불리기도 했던 이들은 당화거간(唐貨居間)과 합하여 박물계(博物契)를 조직하였다. 박물계는 중매인 및 중개업자의 동업 조합으로서, 1925년 당시 당화거간 86명, 환전거간...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급히 돈이 필요한 때를 빼고는 팔지 않던 소
    농사를 짓는 데 빠져서는 안 되었기에 중요한 재산목록이었습니다. 그래서 급히 돈이 필요한 때를 빼고는 절대 소를 팔지 않았습니다. 부득이 소를 팔 때 거간(중개인)에게 매깃돈(출몰, 뻔돈)을 주면, 거간은 살 사람에게 흥정을 합니다. 소를 평가할 때는 먼저 골격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살피고, 뿔의 모양도...
  • 어세절목 漁稅節目
    어세는 어선수의 다소에 따라 봉세관이 12월에 일괄 상납하되 일본인이 해관(海關)이 아닌 해상에서 어획물을 매매할 때에는 그 어획물은 관에서 몰수하고 거간(居間)과 화주를 징벌하여 보내되 일본인의 인적 사항은 외무아문(外務衙門)에 즉시 보고한다. 선수품을 구할 때 폐단이 생기는 경우에는 봉세관이 상호 엄히...
    시대 :
    근대
    창작/발표시기 :
    1881(1887?)년(고종 24)
    성격 :
    문서, 조목
    유형 :
    문헌
    분야 :
    경제·산업/산업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객주 客主
    상인으로서, 직접 자신을 위하여 물건을 매매하는 것이 아니고 위탁자와 그 상대방의 사이에서 간접매매를 하는 상인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상인인 거간(居間)과 같다. 객주는 또한 구전상인(口錢商人)으로서 위탁자를 위하여 매매를 하고 그 대가로 구전만을 받으므로 거간과 같다. 그러나 객주는 주선상인으로...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포삼리정별단 包蔘釐正別單
    의주부윤, 양서 병사, 개성유수에 반포하여 신칙하도록 한 것이다. 내용 잠삼의 폐단과 금하는 일의 배경, 잠월 금지와 처벌, 세전, 송포로 삼을 무역할 때의 거간의 명색, 별장의 정원, 세전 보호 등 포삼에 관해 이정한 절목으로 모두 6개 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잠삼을 금하는 일은 기강...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임관정요 臨官政要
    농상(農桑) · 호구(戶口) · 교화(敎化) · 군정(軍政) · 부역(賦役) · 전정(田政) · 조적(糶糴) · 진휼(賑恤) · 형법(刑法) · 사송(詞訟) · 거간(去奸) · 치도(治盜) 등 21개 항목으로 나누고, 지방관의 자세와 역할을 중점적으로 논하고 있다. 위정에서는 『고려사』와 『경국대전』을 인용하며 수령칠사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