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사 (동의어 개념어) 實辭
    실질적·객관적 개념을 나타내는 말.|실사·개념어라고도 한다. 허사와 대립된다. 허사가 독립된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문법적인 기능만을 가지는 단어를 가리키는 데 반해 실사는 문법적 기능과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는 단어를 말한다. 실사는 단어에 해당하는 어류를, 허사는 단어범주보다 하위인 관계지시요소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시소러스 thesaurus
    문헌 등)를 선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색 용어집으로서 시소러스는 중요하다. 이 경우의 시소러스에서는 주로 전문용어를 대상으로 상위개념어를 BT(broader term), 하위개념어를 NT(narrower term), 유의어를 RT(related term)로서 구별함과 동시에,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색인어로 변환하기 위해 동의어 관계를 USE...
    분야 :
    데이터 베이스, 계산언어학
  • 고유어 순우리말, 固有語
    창안, 고안, 궁리, 연구, 착안, 구상, 구안, 기억, 추억, 의사, 의향, 의도, 심산, 심중, 착상, 발상, 구상’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자어들은 대개 개념어 · 추상어로서 고유어에 비하여 좀 더 정확하고 분화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고유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국어에서 고유어의 정확한 수는 알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실사 實辭
    쓴 용어로서, 개념과정이 없이 주관적인 정의(情意)만을 나타내는 허사(虛辭)에 대립되는 말이다. 실자(實字)라고도 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실사, 즉 개념어(槪念語)를 ‘명(名)’, 갖추어진 진술(陳述)을 ‘사(辭)’·‘변(辯)’이라 했고, 육조(六朝)의 『문심조룡(文心彫龍)』에는 표현의 확장을 ‘자(字)→구(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장가 長歌
    때문에 일반화되지 않고 있다. 또한 속요이든 가사이든 그것을 장가로 부를 경우 긴 노래의 형식이라는 초역사적 의미만을 부여할 수 있을 뿐, 역사적 장르 개념어로서는 그 어느 쪽도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속요나 가사를 장르 개념어로서 장가로 지칭하는 데 동조하는 이는 아무도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장가라는...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나한소사전 나선소자전(羅鮮小字典), 羅韓小辭典
    일본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만든 신조어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철학(哲學), 자연(自然), 문화(文化)’ 등의 개념어들은 일본에서 한자를 이용하여 만든 신조어들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philosophia, natura, cultus’ 등을 ‘철학(哲學), 자연(自然), 문화(文化)’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다블뤼(A. N. Daveluy, 安敦伊) 또는 방달지(方達智)
    창작/발표시기 :
    1891년
    성격 :
    사전, 나한대역사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홍콩, 외방전교회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국회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강대학교 도서관,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 경북대학교 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 교린 Gyorin
    다른 뜻 교린(交隣)은 조선의 외교정책에 관한 개념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이웃나라와 사귄다'는 것이다. 이 용어는 '맹자'에서 유래된 것인데, 본래 그 어원상으로는 모든 나라에 대한 외교 관계를 총칭하는 넓은 의미의 포괄적 표현이었으나, 조선 전기에는 사대의 대상인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의 외교관계...
    도서 위키백과
  • 국어의미론 國語意味論
    를 중심으로 한 확대표준이론 테두리 안에서의 해석의미론적 방법이 많이 적용되었는데, 이러한 연구의 초기 이론인 만큼 생소하고 현재 쓰임과는 많이 다른 개념어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관형절(冠形節)을 부체절(副體節)이라 하고 현재 ‘문장(sentence)’의 의미로는 ‘문’이라 하고 ‘문장’이라는 용어로는...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사대 Sadae
    다른 뜻 사대(事大)는 조선의 중국에 대한 외교정책을 상징하는 개념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강자를 섬긴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자적 의미와는 별개로, '사대'라는 용어는 해석상 시기를 막론하고 일의적 의미를 지니는 표현이 아니었다. '사대'라는 용어는 중국 서주 시대에서 유래한 것으로, 유교 경전의 고전인...
    도서 위키백과
  • 몸과 마음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삶의 에너지
    사람들에게 프로이트의 이론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낯설게 보이는 개념어들 때문일 것이다. 이 둘은 마치 수학과 연산식의 관계와도 흡사하다. 상징적인 부호와 약호로 구성되어 있는 연산식이나 공식은 그 생경함으로 인해 수학의 세계로 들어가는 데 일차적인 진입 장벽 노릇을 한다...
  • 유현주 (강사)
    2 2022 수능대비,지문구조는 다 거리는 거시 미시 손글씨 분석서,2021 2020년 UBS EBS 수능완성X문학 전작품 2021 수능대비,2020 2020년 오르비 고등 국어 문학개념어 거미손 2022 수능대비,2021 2020년 오르비 지문구조는 다 걸리는 고난도 거미손 LEET 독서, 미시 분석서,거시 2020년 UBS EBS 수능특강X산문문학 극...
    도서 위키백과
  • 헬렌 Hellen, ヘレーン
    시조가 되었다. 이들은 고대 그리스를 이룩한 주요 부족으로서 헬렌의 후손이라는 뜻에서 자신들을 헬레네스라고 일컬었고, 이는 뒤에 그리스인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되었다. 헤브라이즘과 함께 유럽 문화의 원류가 된 헬레니즘도 헬렌에서 유래한 말이다. 김응종, 《서양사 개념어 사전》 살림, 2008, p.370, ISBN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