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국 신화, 주무왕 ∙ 강태공 중국 대륙의 새로운 주인으로 떠오르다
    폭군 주왕과 애첩 달기 수백 년 동안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은나라는 주왕(紂王)의 시대에 이르러 퇴락의 길을 걷는다. 은의 주왕은 거구에다 달변으로 맹수와 격투를 벌일 정도로 힘이 세고 언쟁에서도 지지 않았으니 그야말로 안하무인이었다. 주왕은 건물의 길이가 3리나 되고 높이가 1천척을 넘는 녹대(鹿臺)라는 궁...
  • 태공망 (동의어 강태공) 太公望, T'aikung wang
    강태공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주나라 문왕을 도와 주나라를 건국한 일등공신으로 은나라를 격파하고 제나라의 후로 봉해졌다. 태공망이라는 명칭은 주나라 문왕이 웨이수이 강에서 낚시질을 하고 있던 여상을 만나 선군인 태공이 오랫동안 바라던 어진 인물이라고 여긴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대체로 태공망은 ...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주(周),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강상 (관련어 강태공) Jiang Ziya, 呂尚
    인물 정보다른 뜻 넘어옴 강상(姜尙)은 기원전 1211년(은나라 경정(庚丁) 8년)에 출생하여 기원전 1072년(주강왕 6년)에까지 나이가 139세에 달했다. 또다른 기록에서 강상은 기원전 1140년 9월 12일(음력 8월 3일)에 태어났다고 한다. 기원전 11세기 상나라를 멸망시킨 인물 중 한 명으로 염제 신농씨(炎帝 神農氏)의 ...
    도서 위키백과
  • 강태공 강태공실기, 姜太公傳
    도서관에 있으며, 1책으로 된 국문 필사본 3종이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가람문고 등에 있다. 구활자본으로는 1913년 조선서관본 「강태공실기」가 있고, 1920년 대창서원본(大昌書院本) 보급서관(普及書館) 판본이 있으며, 1925년 박문서관에서 간행된 판본이 전한다. 내용 이 작품은 중국 주나라...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조어대 釣魚臺
    히 업스니 물동 말동 여라 첫째 수는 자신의 포부를 실현하기 위해 늙도록 자신의 능력을 알아볼 임금을 기다렸다가 마침내 은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세운 강태공의 영웅적 면모에 대한 감탄을 노래하고 있다. 둘째 수는 강태공이 위수에서 부참(符讖)이 새겨진 구슬 옥황(玉璜)을 낚아 그 예언대로 문왕과 무왕을...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이간(李偘)
    창작/발표시기 :
    1657~1659년
    성격 :
    연시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조선 사람들의 바람을 담은 민화 그림이 삶의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을까?
    가득해 언뜻 미술관에 들어온 듯한 느낌이 들 정도다. 그런데 그 집에 붙어 있는 그림 대부분이 고사인물도다. 위수(渭水)가에 문왕(文王)이 만나러 왔지만 강태공(姜太公)이 곧은 낚싯대를 강물에 넣고 의연히 앉아 있는 모양을 그린 「강태공조어도(姜太公釣魚圖)」, 당나라 시인 이태백(李太白)이 채석강의 밝은 달밤...
  • 낚시 fishing
    풍치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낚시와 관련된 고사도 많아 공자는 조이불망(釣而不網)이라 하여 군자는 고기를 잡되 그물질을 하지 않는다고 했고 낚시의 대명사격인 중국 주(周)의 정치가 강태공은 강가에서 낚시로 소일하면서 난세를 걱정, 천하의 경륜을 탐구하며 아름다운 자연 속에 파묻혀 호연지기를 즐겼다고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바다 , 취미
  • 외다리방아
    세 번 찍은 뒤에 비로소 벌목한다. 방아를 다 만들면 다시 이를 앉히는 날을 잡으며 이날 고사를 지낸다. 고사 직전에 방아 몸통에 ‘경신세경신월경신일경신시강태공조작(庚申歲庚申月庚申日庚申時姜太公造作)’이라는 글귀를 써둔다. 이를 ‘강태공의 외기둥 사주(四柱)’ 또는 ‘방아 상량(上樑)’이라고도 한다. 곳...
    성격 :
    생활용품, 농기구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고 누가 처음 말했을까
    있었습니다. 누군가 찾아옵니다. 훗날 주나라 문왕의 자리에 오르는 창(昌)입니다. 창이 강상을 스승으로 모시니 강상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강태공입니다. 강태공이 바늘 없는 낚싯대로 낚으려고 했던 것은 세월이 아니라 기회였고, 여든이 다 되어 끝내 뜻을 이루었습니다. 아내에게 한심한 책벌레 취급을 받은...
  • 성주굿 성주거리, 城主─
    잡았으니 집안이 편안할 것이라는 공수를 주고 굿을 마친다. 제주도의 경우는 집을 지은 뒤 작은 굿으로 성주풀이를 한다. 이때 소미 중의 한 사람이 목수인 강태공서목시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성주풀이는 심방(무당)과 강태공의 대화와 모의적인 놀이로 진행되는데, 먼저 강태공은 숫돌에 도끼를 갈고 집안을 다니면서...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본관은 평해 하나뿐이다. 구씨의 원조는 강태공(姜太公)이다. 〈중국구씨사기 中國丘氏史記〉에 따르면 강태공의 후손들이 8개 성으로 분파되었는데, 그중 구씨는 산둥 성[山東省] 창락현 영구라는 곳에 정착한 뒤 영구의 구를 성씨로 삼았다 한다. 우리나라 구씨의 시조인 구대림은 본래 중국 당나라 장군으로, 신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물방아 통방아
    한다. 특히, 감자밭으로 모여드는 멧돼지는 이렇게 하여 쫓는 일이 많다. 전라남도지방에서 이를 ‘벼락방애’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물방아에도 강태공(姜太公)의 외기둥 사주(四柱)라고 하여 ‘경신세 경신월 경신일 경신시 강태공조작(庚申歲庚申月庚申日庚申時姜太公造作)’이라고 쓴다. 충청북도 음성...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강태공 사당
강태공전
강태공전
한파 잊은 강태공
제주 바다 낚는 강태공'
성주굿 / 강태공서목시
바다낚시 즐기는 강태공들
강태공과 문왕의 만남
강태공과 제주의 봄
바다낚시에 빠진 강태공들
「강태공조어도」, 종이에 채색, 90.0×57.0cm, 19세기, 파리 기메동양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