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선의 판결보다 최악의 조정이 낫다 (관련어 강제조정) 판사가 법정에서 조정안을 제..
    재판을 하다 보면 판사가 양쪽 당사자에게 조정을 권유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이들은 의혹의 눈초리로 판사를 쳐다보기도 한다. 판사가 조정안을 제시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법원이 조정을 권유하는 경우는 어떨 때일까? 한마디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법원이 조정을 권유하는 경우 ① ...
  • 조정 (관련어 강제조정) 調停, conciliation
    민사조정은 당사자의 신청 혹은 제1심 수소법원이 당사자 쌍방의 동의를 얻어 소송중인 사건을 조정에 회부함으로써 개시되며, 민사소송 인지액의 1/5 정도를 첨부하게 하여 조정신청을 권장하고 있다. 조정사건은 원칙적으로는 조정담당판사가 처리하지만, 제1심 수소법원이 조정에 회부한 사건과 조정담당판사가 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노동쟁의조정제도 勞動爭議調整制度
    조정제도에는 임의조정제도·강제조정제도·긴급조정제도가 있다. 임의조정제도는 노동관계 당사자가 쌍방의 합의 또는 단체협약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 다른 조정 또는 중재방법에 의하여 노동쟁의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구 노동조합법·노동쟁의조정법)상의 조정절차에 의한 강제조정제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노동쟁의조정
    단체교섭이 교착상태에 이른 경우에 노사가 각각의 대표에게 또는 양자가 선정한 제3자에게 그 분쟁의 조정을 맡기는 절차를 말한다. 이 외에도 쟁의조정절차의 개시, 절차진행상의 행위, 해결의 효력방식 등의 면에서 그 성격이 임의적인가 아니면 강제적인가에 따라 임의조정절차와 강제조정절차로 분류하기도 한다...
  • 인지 認知, Anerkennung
    부 또는 모이며, 부 또는 모가 사망한 때에는 그 사망을 안 날로부터 2년 내에 검사를 상대로 하여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한다(제864조). 가사소송법은 강제인지에 관하여 조정전치주의(調停前置主義)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하기 전에 먼저 조정신청을 해야 한다(제50조). 조정에 의해 당사자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법
  • 조선인 강제연행 조선인 강제동원, 강제노역동원, 전시노무동원, 강제연행․강제..
    근로부 조정과, 광공국 근로부 동원과, 광공국 근로부 지도과(1945년 1월)→광공국 동원과, 광공국 근로부 근로제1과, 광공국 근로부 근로제2과(1945년 4월)’로 변천되었다. 지방 조직은 도 단위에서 지사관방, 내무부, 광공부가 담당했고, 그 이하 행정 조직인 부와 군, 도島의 노무 관련 업무는 서무과와 내무과, 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노동쟁의조정
    단체교섭이 교착상태에 이른 경우에 노사가 각각의 대표에게 또는 양자가 선정한 제3자에게 그 분쟁의 조정을 맡기는 절차를 말한다. 이 외에도 쟁의조정절차의 개시, 절차진행상의 행위, 해결의 효력방식 등의 면에서 그 성격이 임의적인가 아니면 강제적인가에 따라 임의조정절차와 강제조정절차로 분류하기도 한다...
  • 공무원 公務員, public servant
    실천적인 조정을 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무원의 신분과 복무 공무원은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 맡은 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공무원들에게는 일정한 복무의무가 주어진다. 그들이 수행해야 할 직무의 내용은 개별적인 경우 모두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복무의무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시대 :
    현대
    성격 :
    개념, 용어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군대해산 軍隊解散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등극시킨 다음 정미칠조약(丁未七條約)을 강요하여 차관임명권 등을 탈취하였다. 그리고 조약의 부속 밀약으로 ‘한일협약규정 실행에 관한 각서’를 교환하였다. 그런데 이 가운데 ‘군비의 정리’ 항목에서 “장차 징병법을 시행하여 보다 정예한 새 군대를 양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투표 投票
    것을 강제투표제라 한다. 이에 반하여 투표를 선거인의 자유의사에 맡기는 제도를 자유투표제 혹은 임의투표제라 한다. ② 비밀투표제와 공개투표제: 선거에 있어서 투표의 내용을 비밀로 하는 것을 비밀투표제라 하고, 투표의 내용을 공개하는 것을 공개투표제라 한다.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비밀투표제...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강제구동 forcing
    공업용 제어 용어. 속도조정을 개시하기 위하여 제어 임펄스를 적용하는 것. 그 크기는 보다 큰 속도변화를 가져오기 위하여 목표제어속도가 보증하는 것보다 크다. 주 : 모터의 계자 회로, 전기자 회로 또는 양쪽에 변화를 일으키도록 제어임펄스를 인가함에 따라 강제구동은 이루어진다. 〈참조어〉 전기운전
  • 자율협약 자율협약에 의한 채권금융기관 공동관리
    법적 절차여서 구조조정 강도가 자율협약보다 더 높다. 자율협약의 경우 기업은 채권단의 요구를 거부할 수 있지만,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경영권이 채권단에...무조건 따라야 한다. 부실해진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강제 수술에 들어가는 것이다. 현재 기촉법에서는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신용공여액의 합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