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정일당 조선후기 여류문인, 姜靜一堂
    배우지 않으면 사람 노릇 할 수 없다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사람 노릇을 할 수 없고, 의리를 버리고 돈벌이만 하는 것은 가난을 참고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하오니, 바느질과 길쌈은 대강 할 줄 아는 제가 하루 세 끼는 잡수시게 할 것이온즉슨, 마땅히 아침저녁으로 성현의 글을 읽으시고 살림엔 괘념치 마옵소...
    출생 :
    1772년
    사망 :
    1832년
  • 강정일당 姜靜一堂
    도학자.|본관은 진주. 아버지는 재수,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며 윤광연(尹光演)의 아내이다. 시아버지 타계 후 집안이 더욱 어려워져 남편이 생계 마련에 분주하자 이를 만류, 다시 학문의 길로 들게 하였으며 독학하던 남편을 타일러 당대의 학자 송치규(宋穉圭)의 사문에 들어가게 하였다. 항상 남편과 학문적 자세를 ...
    출생 :
    1772(영조 48)
    사망 :
    1832(순조 3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강정일당 Kang Jeongildang
    인물 정보 강정일당(姜靜一堂, 1772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시인으로, 본관은 진주, 호는 정일당(靜一堂), 아명은 지덕(至德)이며 충청도 제천 출신이다. 그녀는 1791년 윤광연과 결혼하여 슬하에 5남 4녀를 두었으나 아홉 자녀 모두 돌을 맞기도 전에 죽었다. 하지만 그녀는 황운조 등의 필법을 이어받아...
    도서 위키백과
  • 머리카락을 잘라 내조한 시인 삼의당 김 씨
    힘써 유고집인 《삼의당고(三宜堂稿)》 두 권을 남기는데 여기에는 시 99편과 산문 19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삼의당 김 씨는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이율곡의 어머니인 신사임당, 남편의 학문적 자세를 격려하고 용기를 주던 강정일당과 함께 시문학에 빼어나면서도 가문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 여성으로 기억되고...
  • 이 달의 문화 인물 この月の文化人物, 本月文化人物
    2003년 안확 양주동 이동백 양팽손 정지용 정몽주 김장생 박세당 유정 월명 이인성 유길준 2004년 조희룡 신흠 이항로 이경석 의상 백광홍 이첨 김창조 조헌 최항 장욱진 박두진 2005년 정정열 이예 강경애 신동엽 임윤지당 김종직 강정일당 이규보 나철 이승휴 효명세자(문조) 최북 이 달의 독립운동가 둘러보기 상자 묶음
    도서 위키백과
  • 정부인 안동 장씨 Jang Gye-hyang, 貞夫人安東張氏
    계속 전해졌으며, 기타 며느리나 딸들은 원본을 물려받을 수 없고, 다만 필사본을 베껴갈 수는 있도록 허락하였다. 조선시대 중기의 다양한 요리 방법이 기록된 《음식디미방》은 1910년에 와서 우연히 대중에 공개되었다. Col-2 신사임당 임윤지당 강정일당 허초희 황진이 이시명 이휘일 이현일 1999년-이 달의 문화 인물
    도서 위키백과
  • 정일당 강씨 묘
    청계산 기슭에 남향하여 있는 원형의 봉분은 기다란 용미와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30cm, 동서 직경 250cm이다. 분묘는 남편 윤광연과 합장되어 있다. 묘비도 없이 전해오던 것을 성남시에서 1986년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하고, 2000년 2월 파평윤씨 문중의 협조를 받아 사당과 묘지를 재조성하였다. 강정일당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