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정 견병
    전통 당과류의 일종. 원재료는 찹쌀이며 그 밖의 재료나 모양에 따라 깨강정, 엿강정, 잣강정 등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명절이나 잔치에 많이 쓰이는 음식이고, 차와 함께 곁들여 먹기도 한다.|개요 참깨, 들깨, 콩 같은 것을 볶거나 튀겨서 되직한 물엿에 버무려서 굳힌 것. 명절이나 잔치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강정 견병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썰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긴 조과(造果).|내용 제례·혼례 잔치에 쓰는 필수과정류의 하나이며, 모양이 마치 누에고치 같다 하여 ‘견병(繭餠)’이라고도 한다. 강정의 바탕은 찹쌀로 만들고 표면에 묻히는 고물에 따라서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뉘고, 강정바탕을 썬 모양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뉜다. ...
    성격 :
    음식, 과자, 조과
    유형 :
    물품
    재질 :
    찹쌀, 꿀, 술, 기름, 깨, 흑임자, 계피, 잣, 신검초, 송화, 밥풀, 지초
    용도 :
    의례, 간식
    관련 의례 :
    제례, 혼례, 세시의례
    분야 :
    생활/식생활
  • 강정
    식재료 찹쌀 670g(4컵), 흰콩 15g(1큰술), 물 200ml(1컵), 소주 300g(2큰술), 설탕 13g(1큰술), 번가루(쌀가루) 100g(1컵), 소금 약간 부재료 <즙청액> 설탕 150g(1컵), 물 200mL(1컵), 꿀 63g(3큰술) <고물> 세반(밥풀) 120g(2컵), 참깨 60g(1/2컵), 흑임자 60g(1/2컵), 잣가루 45g(1/2컵), 콩가루 85g(1컵) 조리방법 1...
    분류 :
    다과류 > 과정류 > 유밀과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양녕대군 후백, 讓寧大君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맏아들인 양녕대군은 일찍이 세자로 책봉되어 정치에 참여했고, 명나라 사신 접대, 강무 참여 등 맡은 바 역할을 다했지만 자유분방한 성격 탓에 부왕 태종과 마찰을 빚다가 폐위되었다. 이후에도 갖은 기행으로 세간에 물의를 일으켰지만 동생 세종의 각별한 배려 덕분에 천수를 누릴 수 있었다...
  • 양녕대군 후백, 讓寧大君
    태종의 장남으로 원세자를 거쳐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세자 책봉 직후부터 학문의 태만함과 세자로서의 품위 손상을 지적받다가 폐위되었다. 시와 글씨에 매우 뛰어났다. 1409년 이후 태종이 정사를 보지 않을 때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정치에 참여했고, 명나라 사신 접대나 강무시솔행 등 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출생 :
    1394(태조 3)
    사망 :
    1462(세조 8)
    국적 :
    조선, 한국
  • 구기자한과 산자
    식재료 찹쌀 600g(3 2/3컵), 청주 100mL(1/2컵), 콩 1큰술, 구기자가루 50g, 반죽물 200mL(1컵), 검은깨 적량, 참깨 적량, 세반 적량 부재료 <즙청액> 설탕 150g(1컵), 물 200mL(1컵), 꿀 63g(3큰술) 조리방법 1. 찹쌀을 깨끗이 씻어 1주일 정도 물에 삭힌다. 도중에 물을 갈아 주지 말고 골마지가 끼도록 그대로 둔다. ...
    분류 :
    다과류 > 과정류 > 유밀과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권철 경유, 權轍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안동. 자는 경유, 호는 쌍취헌. 아버지는 강화부사 적(勣)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 탁의 딸이다. 율(慄)의 아버지이다. 1528년(중종 23)에 진사가 되었고, 1534년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예문관검열이 되어 사초를 쓸 때, 당시 영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잘못을 직필했다가 미움을 받아 한때 ...
    출생 :
    1503년(연산군 9)
    사망 :
    1578년(선조 11)
    국적 :
    조선, 한국
  • 양녕대군 후백(厚伯), 讓寧大君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첫째 아들인 왕자.|개설 이름은 이제(李禔). 자는 후백(厚伯). 태종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여흥 민씨로 민제(閔霽)의 딸이며, 부인은 광주 김씨(光州金氏)로 김한로(金漢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04년(태종 4)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자유분방한 성품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왕세...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캉딩 (동의어 강정) 간쯔 짱족 자치주의 대표 도시
    한족 문화와 티베트 문화가 만나는 접경 지대로, 간쯔 짱족 자치주(甘孜藏族自治州)의 대표 도시다. 청두에서 안개에 휩싸인 쓰촨 분지를 지나 해발 2,616m의 캉딩에 도착하면 무엇보다 눈부시게 새파란 하늘이 반갑다. 물보라를 일으킬 정도로 세차게 흐르는 저둬 강(折多河)을 따라 도시가 길게 이어진다. 우주선에도 ...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성종 (관련어 강정) 조선왕조의 통치 체제를 완성하다
    훈신 세력을 등에 업고 왕이 된 어린 임금 성종은 1457년(세조 3) 세조의 큰아들 덕종(의경세자)과 한확(韓確)의 딸 소혜왕후(昭惠王后)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혈(娎)이며, 1461년(세조 7) 자산군(者山君)에 봉해졌다. 세자였던 아버지 덕종은 그가 태어나던 해 20세의 나이로 요절했고, 세조의 둘째 ...
    시대 :
    조선
    출생 :
    1457년(세조 3)
    사망 :
    1494년(성종 25)
    본명 :
    이혈(李娎)
    본관 :
    전주(全州)
  • 캉딩 (동의어 강정) Kangding, 康定
    중국 쓰촨 성[四川省] 서부에 있는 도시. (병). Kangding. (웨). K'angting. (티). DarrtseMdo. 옛 이름은 다젠루[打箭爐 : ~1913].|현청소재지이자 간쯔티베트족 자치주[甘孜藏族自治州]의 행정중심지이다. 다두 강[大渡河]의 지류인 퉈장 강[江]에 면해 있으며, 쓰촨 성에서 시짱 자치구[西藏自治區 : 티베트]로 들...
    위치 :
    중국 남서부 쓰촨 성 서부, 퉈장 강 연안
    인구 :
    114,000명 (2015 추계)
    면적 :
    11,486㎢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강정 (시인) Kang Jeong
    작가 정보 강정(1971년~)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92년 《현대시세계》에 〈항구〉외 5편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침소밴드 리드보컬, THE ASK 멤버로 활동했다. 2015년 제4회 시로여는세상 작품상, 제16회 「현대시작품상」, 2017년 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6건

강정
강정
엿강정
강정(가운데 노란 것)과 산자
쌀강정
쌀강정
고등어 강정
가래떡강정
엿강정
잡곡강정
비자강정
삼치강정
꽃게강정
닭강정
엿강정
닭강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