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신 면경(勉卿), 姜紳조선시대 강원도관찰사, 경기도관찰사,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면경(勉卿), 호는 동고(東皐). 강영숙(姜永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며, 어머니는 임간(任幹)의 딸이다. 강사안(姜士安)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67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3년(중종 38)
- 사망 :
- 1615년(광해군 7)
- 경력 :
- 승지, 강원도관찰사, 경기도관찰사, 좌참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여립의 옥사, 임진왜란, 정유재란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강신 康愼조선전기 예문관대교, 감찰, 세자시강원필선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신천(信川). 강인석(康仁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윤리(康允釐)이고, 아버지는 부사 강거의(康居義)이며, 어머니는 안렴사(按廉使) 신우(申祐)의 딸이다. 부인은 경주부윤 오식(吳湜)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생원시를 거쳐 1420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97년(태조 6)
- 사망 :
- 1435년(세종 17)
- 경력 :
- 예문관대교, 감찰, 세자시강원필선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신천(信川)
-
강신 降神초인간적·초자연적 존재가 인간 또는 사물에 빙의하거나 의례 과정에서 임재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종교용어. 내용 흔히 ‘ 신이 내린다.’, ‘신이 지핀다.’라고 말하며, 혼이 빠져나가는 탈혼(脫魂, ecstasy)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무속에서는 성무(成巫) 과정 중에 신병(神病)과 더불어 나타나며, 무당이 굿을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인왕상 금강역사(金剛力士), 仁王像내용 흔히 금강역사·이왕(二王)·이천왕(二天王)·집금강신(執金剛神)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것은 인왕이 인도에서 문을 지키는 신(약사신 등)을 불교에서 수용하여 인왕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사찰이나 불상·불사리(佛舍利)를 지키는 수문장으로 사찰의 문이나 불전의 입구, 불상의 좌우, 탑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
심강 신도비 沈鋼 神道碑내용 199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596년(선조 29)에 건립. 총높이 222㎝, 비신의 높이 168㎝, 너비 86㎝, 두께 32㎝. 화강암제 기단 위에 귀부(龜趺) · 비신 · 이수(螭首)를 차례로 얹은 복고풍으로, 이수와 귀부의 조각이 좋은데 통례와 달리 귀부의 머리와 꼬리 방향으로 비신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