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술식재료 차조 , 밀누룩가루 , 물 적량 조리방법 1. 차조를 빻아 가루로 만들어 오메기떡을 만들고 누룩가루와 섞어 반죽을 하는데, 물을 거의 넣지 않고 물렁물렁하게 반죽하여 항아리에 넣고 10~20℃온도를 유지하면서 발효시킨다. 2. 발효되어도 반죽처럼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술을 독하게 빚어 물에 타서 마신다. ...
- 분류 :
- 발효식품류 > 주류 > 약주 및 탁주류
-
성읍 민속마을 오메기술 강술, 城邑 民俗마을 오메기술차조로 빚어 만든 탁주(濁酒). 내용 1990년 제주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일명 강술이라고도 한다. 보통 10월부터 1월 사이에 담그는데,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고 맛이 더욱 좋아진다. 제조법은 차조가루 한말을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만들어 가운데 구멍을 뚫고 끓는 물에 삶아 참누룩 한말을 섞...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식생활
-
-
박정자유고 朴正字遺稿3편, 서후(書後)·후설(後說)·자의(字義)·변(辨)·규식(規式)·가훈(家訓) 각 1편, 권2∼4는 「치법(治法)」으로 올리지 못한 장편 상소(上疏) 3편, 문신강술교관택차지법(文臣講述敎官擇差之法) 1편, 제도(制度) 2편, 명목(名目) 1편, 잡론(雜論) 1편, 논(論) 6편 등이 실려 있다. 권5에 장소(章疏) 6편, 권6∼8...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정사본 정초본(精抄本), 精寫本뽑아 이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강(綱)과 목(目)으로 나누어 정성껏 기록한 문헌이다. 규장각 도서에 정조의 친필 기록으로 추정되는 정사(政事) · 강술(講述) · 시사(試射)의 내용을 정리한 일기가 전해지고 있다. 또한 어람용 의궤는 왕실의 결혼이나 장례와 같은 각종 행사를 기록한 의궤 가운데 왕이 열람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승훈 자술(子述), 李承薰세례와 견진성사(堅振聖事)를 집전하는 등 가성직제도(假聖職制度)를 주도하였다. 1787년에는 정약용과 반촌(泮村:지금의 惠化洞)에서 천주교 교리를 강술하는 등 교회활동을 영도하였다. 그러나 가성직제도가 교회법에 어긋난 행위임을 알고는 이 조직을 해산하고 성직자영입운동을 추진하였다. 1790년 음서로 의금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56년
- 사망 :
- 1801년 4월 8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을사추조적발사건, 진산사건, 을묘실포사건
- 직업 :
- 천주교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본관 :
- 평창(平昌)
-
척약재문집 惕若齋文集을 높이 평가하고, 명화(名花)에 끼지 못한 꽃들은 다만 분수에 따라 자기 소신을 다해야 한다고 하여 자신의 우국충정(憂國衷情)을 나타내었다. 애사의 「강술고조흠애사(姜述古祖欽哀詞)」는 한유(韓愈)가 지은 구양첨(歐陽詹)의 애사를 모방하여 강조흠의 애사를 쓴 것으로, 천명(天命)을 알아 안분(安分)하였고 효심...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동섬
- 창작/발표시기 :
- 1864년(고종 원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정오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시경강의속집 詩經講義續集내용 11권 6책. 필사본. 1868년(고종 5)에 저술하였다. 『시경강의』는 정조의 『시경』 조문(條問)에 대한 정약용의 강술이다. 당시 정약용의 나이가 30여세로, 제한된 시간에 저술되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 많아 정약용도 이 점을 항상 안타까워하였다. 정약용이 죽은 뒤, 그의 외손이며 오랫동안 그에게서 학업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윤정기
- 창작/발표시기 :
- 1868년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1권 6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강경의식 講經儀式다같이 삼례를 창한다. 그리하여 의식화된 강경은 끝나게 되지만, 그때 복사(覆師) 한 사람이 등단하여 다시 강사와 논의를 되풀이하게 된다. 그는 강사의 강술(講述)을 다시 설하며 그 이해의 철저를 기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일일강의식(一日講儀式)의 경우에는 강사와 함께 도강(都講)과 독사(讀師)가 등장...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불교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교질 敎秩교리에 숙달하고 봉사정신이 투철한 교인을 도무회의(道務會議)에서 뽑아 도본사 전무가 교정을 준다. 상교는 지교가 된 지 2년이 넘은 교인으로서 교리를 강술할 수 있고 봉사정신이 투철하여 공이 두드러진 교인을 교무회의에서 뽑아 총본사(總本司)의 총전교(總典敎:敎主)가 교정을 준다. 정교는 상교가 된 지 5년이...
- 성격 :
- 품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종두신서 種痘新書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학부 편집국장인 이경식(李庚植)과 후루시로가 썼다. 서문은 모두 한문이고, 본문은 국한문 혼용이다. 1장 앞에는 이 책이 후루시로의 강술(講述)과 학부 보좌관 와사카와 마쓰지로(麻川松次郞)의 번역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본문은 각각 종두의 역사, 수두(獸痘), 두묘의 종류, 종두 방법...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후루시로 바이케이(古城梅溪)
- 창작/발표시기 :
- 1898년 8월
- 성격 :
- 의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61쪽
- 간행/발행 :
- 학부 편집국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의예과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신의 흥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ㆍ 의료 관련 독서 - 대학 주요 교과목 한의학개론 한의학의 기초 및 임상에 관한 이론을 개괄적으로 강술함으로써 한의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자세에 대해 배웁니다. 의철학 한의학의 기본을 이루는 음양오행사상을 중심으로 오운, 육기, 하도, 낙서...
- 분류 :
- 대학교 > 의약계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