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강성서원 江城書院文益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월천사(月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뒤, 1692년(숙종 18)에는 문위세(文緯世)를 추가배향하였다. 1785년(정조 9)에 강성(江城)이라는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되었고,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많은 학자들을 배출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로 인하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
-
일본 문학의 전통을 현대어로 재탄생시키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康成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968년 타고르에 이어 동양에서 두 번째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젊은 시절 다양한 전위 문학적 시도를 한 끝에 이를 일본의 전통적인 미와 결부시켜 고대 일본 문학의 전통을 현대어로 재탄생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완성도 높은 내러티브, 극도의 미학적...
- 출생 :
- 1899년 06월 14일
- 사망 :
- 1972년 04월 16일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설국》, 《수정환상》, 《서정가》, 《금수》 등
-
-
섬세한 탐미주의자,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康成1968년 타고르에 이어 동양에서 두 번째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배출되었다. 한림원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일본 정신의 정수를 표현해 낸 완성도 높은 내러티브와 섬세함을 담고 있다."라고 극찬하며 노벨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극도의 미학적 표현을 사용하여 서정성이 넘치는...
- 출생 :
- 1899년
- 사망 :
- 1972년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설국》, 《이즈의 무희》, 《수정환상(水晶幻想)》, 《서정가(抒情歌)》, 《금수(禽獸)》, 《천우학(千羽鶴)》, 《산소리》
-
삼우당충선공강성군부민후 문익점 부조묘고려 말에 목화씨를 들여와 우리나라에 보급한 문익점을 모신 사당으로 문익점 부조묘라고도 한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영구히 제사 지내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문익점은 고려 말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면서 목화씨를 가져와 국가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성리학을 크게 일으켜...
- 위치 :
-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도개2길 21 (미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