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산실기 芝山實記石役所任員分定名單)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3수에 불과하며, 「가대인수연시(家大人壽筵詩)」·「복차기로회운(伏次耆老會韻)」·「태평시대강구연월(太平時代康衢烟月)」 등이다. 유묵은 오륜(五倫)에 관한 내용이다. 그 밖에 임진왜란 당시 도산서원의 서적을 지하에 묻고, 전답 및 노비의 문서를 전부 감추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운
- 창작/발표시기 :
- 1850년(철종 원년)경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희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간재종댁(艮齋宗宅)
-
화조가 花鳥歌漢江水)로 물을주니 사백년래(四百年來) 봄바람에 화중왕(花中王)이 되단말가”는 그 위 사설 “요순성대(堯舜盛大) 다시만나 태평화조(太平花鳥) 잔치하니 강구연월(康衢煙月) 노인들은 격양가(擊壤歌)로 화답하고……”를 받는 사설이다. 이 대목은 조선시대를 요순시대와 같은 태평성대로 간주하고 노인들이 격양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당문집 素堂文集소학』의 숙종·영조 어제서(御製序) 및 편차(編次) 등을 서지학적인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농악설(農樂說)」은 농악이 저속화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강구연월(康衢煙月: 태평한 시대의 번화한 거리의 평화스러운 모습)을 구가하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것을 주장한 글이다. 특히 농악의 여러 가지 의식(儀式...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제환
- 창작/발표시기 :
- 195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9권 5책
- 간행/발행 :
- 신천석, 이종만, 변영인, 신태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
-
'강·구'자문 목판 康·衢字紋木板각각 '강(康)'자와 '구(衢)'자가 양각된 목판이다. '연(煙) · 월(月)'자문 목판과 결합하여 오거리[강(康)]와 네거리[구(衢)]의 밥 짓는 연기가 달을 향해 피어오르는 평화로운 풍경이라는 말로 태평성세를 뜻하는 '강구연월(康衢煙月)'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목판 윗면에 '십(十)' 이라는 묵서가 있다...
- 분류 :
- 유물 > 조각
- 크기 :
- 가로: 3.6cm, 세로: 3.6cm, 높이: 3.3cm
- 재질 :
- 나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