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절곶 艮絶串
    남쪽 신암리만 사이에 돌출된 부분이다.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절곶 등대가 있다. 간절곶이라는 이름은 먼 바다에서 간절곶을 바라보면 긴 간짓대(대나무로 된 긴 장대)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졌다. 정동진, 호미곶과 함께 동해안의 대표적인 일출 명소로 알려져 있다. 간절곶의 일출은 정동진보다는...
    성격 :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울산 , 국내여행
  • 익산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기세배놀이는 삼한시대의 소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민간의 '솟대놀이', 곧 섣달 무렵 새해의 풍년을 비는 뜻에서 볍씨를 주머니에 넣어 높은 간짓대에 매달아 넓은 마당에 세워두고, 정월 보름날에 그 앞에 모여 풍물을 치면서 벌이던 놀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전지 간지깽이
    긴 나무 끝에 조그마한 망태기나 자루 비슷한 주머니를 달았다. 감이 달린 가지를 이 사이에 끼워, 틀어서 꺾으면 감이 이 안으로 떨어진다. 경상남도나 전라도 등지에서는 큰 대나무(간짓대)의 끝을 반으로 갈라 쐐기를 박고, 주머니는 달지 않는다. 갈라진 대나무 사이에 감이 열린 가지를 바짝 끼워서 꺾어 내린다...
    성격 :
    농기구, 채집도구
    유형 :
    물품
    재질 :
    대나무
    용도 :
    농업, 채집용도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간절곶 이길곶, 艮絶串
    1월 1일에는 오전 7시 31분 20초에 해가 떴다. 명칭 유래 간절은 먼 바다에서 바라보면 과일을 따기 위해 대나무로 만든 뾰족하고 긴 장대를 가리키는 간짓대처럼 보인다는 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곶은 육지가 바다로 돌출해 있는 부분을 의미하므로 간절곶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넓고 길다는 의미를 가진...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간절곶 Ganjeolgot, 艮絶串
    바라보고 우뚝 서 있으며 흰색이다. 등대 앞은 솔 숲인데, 울창하지는 않지만 꼬불꼬불한 모양이 정겹다. 간절곶은 먼 바다에서 바라보면 뾰족하고 긴 간짓대(대나무 장대)처럼 보여 유래한 지명이다. 『조선지형도』(장생포)에는 간절갑(艮絶岬)으로,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졀포로 각각 기록하고 있다. 동경 129...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