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봉행은 에도 막부의 직제로 간조보(勘定方)의 최고책임자이다. 재무정책이나 막부직할령의 관리 등을 담당했다. 지사부교, 정봉행과 함께 삼대 부교 중 하나이다. 초기엔 간조가시라(勘定頭, かんじょうがしら)로 부르기도 했다. 評定所에서는 에도를 제외한 간토 지방내 소송을 담당했는데 정원은 4명이었고 규모는...
이와이다 사쿠히와 함께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반대파의 저항이 강력해지고 1749년 흉작으로 인해 잇키가 발생하면서 결국 사쿠히를 면직시키고 책임자인 간조부교 모로타 헤이시로를 추방하였다. 이후 보수파 중신들이 기용되었으나, 개혁 당시 생성된 세금 제도 등은 이후로도 계속되어 백성들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결탁하여 번내의 쌀을 독점하고 에도에 매각하여 폭리를 취하는 등 부정 사건도 발생했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1753년, 노부야스는 뉴이 미쓰기를 간조부교로 발탁하고, 1755년에는 재정 책임자로 임명하여 이른바 호레키 개혁을 추진하였다. 행정기구와 권력기구를 일원화하고, 경작지를 재조사하며 상업을 부흥...
원년 10월 25일(1864년 11월 24일))는 일본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로 쓰시마 후추번의 번사이다. 이름은 和礼. 통칭 따로 요시자에몬이라고도 하였다. 간조부교(勘定奉行)와 오오메쓰케(大目付) 등을 거쳐 가한레이(加判列, 가로)가 되었다. 겐지 원년(1864년) 번교(藩校, 번립 학교)인 닛신칸 (쓰시마 후추번)의 창설을...
있었다. 하위직으로는 교토 공사총괄京都大工頭、공사총괄大工頭、사쿠지 부부교作事下奉行、다다미부교畳奉行、세공소장細工所頭、간조총괄勘定役頭取、作事方被官、기와부교瓦奉行、식목부교植木奉行、作事方庭作 등이 있었다. 사쿠지부교 근무를 마치면 오메츠케나 마치부교, 간조부교 등으로 승진했다. 봉행 (일본사...
뉴이 미쓰기는 에도 시대의 히로사키 번사이다. 뉴이 미쓰구라고도 불린다. 1753년, 당시 번주인 쓰가루 노부야스에게 중용되어 간조부교의 자리에 올랐고, 1755년 12월에는 재정 최고책임자인 원사직(元司職)에 올랐다. 그는 재정난에 시달리는 히로사키번에 대해 호레키 개혁을 주도하였다. 개혁을 통해 그는 행정기능...
관료제적 성질이 강한 통치기구를 형성하게 되고, 부교는 막부나 다이묘 가문의 상급 간부에서 하급 간부까지 그 직명에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산부교는 간조부교 / 마치부교 / 지사부교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국의 사찰과 신토 신사들을 감독하였으며 이와 함께 각지의 도시들도 관리했다. 지샤 부교가 이 세...
삼봉행은 에도 시대의 지샤부교, 간조부교, 마치부교의 세 부교을 묶어 이르는 말이다. 평정소의 핵심 구성원으로, 산부교 이외에는 로주 한명이 참여했다. 산부교는 각각 대등한 관계가 아니었으며, 칸죠부교와 마치부교는 하타모토들 중에서 임명되었지만 사사봉행은 후다이 다이묘들 중에서 임명되었다. 물론 삼봉행...
지사부교는 무로마치 막부 및 에도 막부에서 절이나 신사의 영지, 인사(人事), 소송 등을 담당하던 봉행이다. 석고 1만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임명되는 것이 원칙으로 와카도시요리를 겸임하였다. 간조부교, 마치부교와 함께 산부교로 물리던 막부의 실무 담당이었다. 봉행 (일본사)
8월 18일의 정변 이후 조슈 번이 고립지경의 처지에 서게 되었다. 이에 위기감을 가진 가쓰이는 겐지 원년(1864년) 4월 23일에 오우라의 적남으로 간조부교를 역임한 신로쿠(申禄, 사쿠베에作兵衛)를 암살하고 번의 비령(飛領)이 있던 히젠 국의 다시로(田代, 현재 사가현 도스시)로 출장을 핑계로 도망쳤다. 그런데...
석을 추가로 받았다. 분큐 3년 7월 20일에는 센고쿠 소동에 연좌되어 삭감되었던 2천 5백 석을 다시 지급받아 종래의 5천 석으로 돌아왔다. 8월 14일에는 간조부교에 임명되었고, 겐지 원년 6월 24일에는 오메쓰케, 29일에는 마치부교에 임명되었으며, 11월 20일에 종가인 다나구라번 마쓰다이라 가문을 계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