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 대수에 의한 간소화논리함수를 간소화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불 대수를 이용한 간략화 방법 대수학적 처리 방법으로, 불대수의 정리 및 공식을 사용한다.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 간략화 방법이다. 카르노 맵(Karnaugh map)을 이용한 간략화 방법 1953년 벨연구소의 카르노(Maurice Karnaugh)가...
-
한글 간소화 방안 한글 簡素化 方案개설 1949년 10월 9일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이 담화를 통해 맞춤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함에 따라 만들어진 한글 표기법안. 간소화 3개조와 용례, 부록 등을 실은 『한글 간소화 방안(원칙, 이익편)』을 1954년 6월 9일 성안(成案)하고 7월 2일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이에 학계 등의 반발이 심하자 『한글 간소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작업 간소화 프로그램 WSP, Work Simplication Program컴퓨터 등의 이용에 의한 기계화된 사무관리 시스템은 그 전제로서 사무의 간소화, 표준화라는 과제가 강하게 요구된다. 이 간소화, 표준화의 프로세스를 하나의 방식으로 종합해서 이루어 놓은 것이 WSP이다. ① 작업분배, ② 작업순서, ③ 작업량 측정 등 3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작업분배에는 각 부분의 직무내용과...
- 분야 :
- 프로그래밍
-
작업 간소화 프로그램 WSP, 作業簡素化-전제로 하여 사무의 표준화 방법론적 처리를 일반식으로 정리한 것. ㉠각 부분의 직무 내용 및 그 표준 작업 시간을 분석하는 작업 배분, ㉡사무 작업을 처리 순서도에 따라 재편성, 결합, 삭제, 간소화하는 작업 순서의 문제, ㉢전표류를 중심으로 한 작업량을 분석하는 작업 측정 등 3가지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국제해상교통간소화협약 FAL, The Convention on Facilit..국제항해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의 입항, 정박, 출항에 관한 행위, 수속절차 등을 간소화하고 최소한도로 줄임으로써 해상교통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제정된 협약
- 분야 :
- 해사안전
-
카르노 맵 Karnaugh Map짐작할 수 있다. 사각형 안의 적색 숫자는 진리표의 10진수 숫자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추후 최소항의 합 형식으로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숫자다. 간소화 과정 • 진리표에서 출력이 1인 경우를 찾아 카르노 맵에 1로 표시한다. • 인접한 것끼리 최대 2n개(16, 8, 4, 2) 순으로 묶는다. • 1로 표시된 사각형...
-
노스페이스의 역사 50년의 모험은 계속된다있었다. 그는 측지선 돔(다각형 골격들이 서로 힘을 분산해 지탱하는 구조물)을 최초로 제안해 텐트에 적용했다. 이는 표면 비율 용적의 극대화, 조립의 간소화, 그리고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부여했다. 고어텍스 섬유 도입(1976) 1976년, 노스페이스는 품질 조절 연구소를 개설했다. 원료공장과 공급자의...
-
사복변제절목 私服變制節目목적 조선 말기에 서구 문물의 유입으로 사회 분위기가 점점 실용성에 가치를 두기 시작하면서 고종(高宗)은 크고 넓은 옷을 개혁하여 간소화하고자 하였다. 고종이 추진했던 복식 간소화는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에서부터 시작하였다. 갑신의제개혁은 관복(官服)과 사복(私服)을 색, 옷의 종류, 형태 등에 있어...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을미의제개혁 乙未衣制改革관복(官服)과 일반인의 예복(禮服)은 품과 소매가 넓고 기다란 옷을 여러 점 겹쳐 입은 것이었다. 그러나 근대에 서구 문물이 유입되면서 전통식 의복 간소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을 통해 간소화하고자 했으나 성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에 의복 간소화의 시행을 목적으로...
- 시대 :
-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관대례복 文官大禮服제정 목적 1894년(고종 31)의 갑오의제개혁(甲午衣制改革)은 전통식 복식의 간소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그 간소화는 소례복(小禮服)과 근무복인 통상예복(通常禮服)에 대한 것이었고 대례복(大禮服)은 기존의 전통 형태를 유지하였다. 당시의 대례복은 간소화하는 소례복 및 통상 예복과 차별화해서 전통적인 예...
- 시대 :
-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