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난현 (관련어 간난) Gannan County, 甘南県
    다른 뜻 넘어옴 간난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치치하얼 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438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90,000명이다. 치치하얼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5개 진, 5개 향을 관할한다. 진: 甘南镇, 音河镇, 平阳镇, 东阳镇, 巨宝镇. 향: 长山乡, 中兴乡, 兴隆乡, 宝山乡, ...
    도서 위키백과
  • 간난
    성인 정보 이간난(李干蘭, 1814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아가타(Agatha)이다. 그녀는 1846년 7월 11일에 현석문 가롤로의 집에서 체포된 신심 깊은 여성들 중 한 사람이다. 이간난은 1813년에 한양에서 한 이교도 부모 밑에서...
    도서 위키백과
  • 간난 李干蘭
    간난(1814∼1846). 성녀(聖女). 축일은 9월 20일. 세례명 아가다. 서울의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세에 결혼하여 3년만에 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왔고 이 때 외할머니의 가르침과 권면으로 입교,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성세성사를 받았다. 1846년 5월 김대건(金大建) 신부가 체포되자 포졸들의 수색을 피해...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Gannan Tibetan Autonomous Pref..
    중화인민공화국 행정구역 정보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는 간쑤성의 남동쪽에 위치한 티베트족 자치주이다. 면적은 40,201km2이고 중심지는 허쭤이다. 북쪽에서 동쪽으로 간쑤성의 린샤 후이족 자치주, 딩시 시, 룽난 시, 남쪽은 쓰촨성의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서쪽은 칭하이성의 하이둥 지구,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도서 위키백과
  • Gannan County 간난 현, 甘南県
    Gannan County (Chinese: 甘南县; Pinyin: Gānnán Xiàn) is a county in Qiqihar, Heilongjiang, China, about 50 km northwest of the city seat of Qiqihar.
  • 병오박해 병오사옥, 丙午迫害
    체포 소식을 듣고는 돌우물골(현,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신부 댁에 있던 여신자들을 피신시켰다. 그러나 뒤따라온 포교들에 의해 우술임(禹述任), 이간난(李干蘭), 김임이(金任伊), 정철염(鄭鐵艶)과 함께 현석문도 체포되었고, 김대건이 고향으로 실토한 용인의 은이(현, 용인시 처인구 내사면 남곡리)에서는 한이형...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사건·사고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쌍커 초원 여름철 무릎까지 만발한 들꽃이 장관
    간난 짱족 자치주(甘南藏族自治州)의 중요한 유목지역으로 초원 면적이 70㎢에 달한다. 해발 3,000m에 위치한 고산 초원으로 4,000여 명의 티베트 유목민에게는 삶의 터전이다. 샤허 마을에서 버스를 타고 쉽게 올 수 있어서 여름이면 여행자들이 몰려든다. 바람을 타고 초록 물결이 일렁일때 코끝을 스치는 향기가 상쾌...
    요금 :
    ¥20
    가는 법 :
    라브랑 사원 주차장에서 쌍커 향(桑科乡)으로 가는 미니버스를 탄다. 버스는 자주 있고, 사람이 어느 정도 차면 수시로 출발한다. 택시를 타면 ¥30 정도 나온다.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문학건설 文學建設
    宋影)군의 인상과 작품」, 백철(白鐵)의 「1932년도의 푸로레타리아시(詩)의 성과」 등이 있다. 시에 권환(權煥)의 「아버지 김첨지 어서 갑시다! 쇠돌아 간난아 어서 가자!」, 정용산(鄭龍山)의 「있어야 할 네가 없어」, 소인(蘇因)의 「이제는 나도」, 이찬(李燦)의 「너희들을 보내구」 등이 게재되어 있다. 의의와...
    시대 :
    근대
    저작자 :
    박동수
    창작/발표시기 :
    1932년 12월(창간), 1932년 12월(종간)
    성격 :
    잡지, 문예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문학건설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원우
    신소년〉 등에 아동문학 작품을 발표했다. 〈애 보는 법〉(1933), 〈세 발 달린 황소〉(1934), 〈엄마 기다리는 날〉(1935) 등의 동시들과 아동소설 〈간난철의 어느 날〉(1933), 〈가난한 집 얼룩이〉(1934) 등에는 일제강점기 식민통치하에서 헐벗고 굶주린 아이들의 비참한 현실과 그에 대한 따뜻한 동정이 넘치고...
    출생 :
    1914. 2. 28, 평북 의주
    사망 :
    1985. 1. 1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사우당문집 四友堂文集
    에서는 학문의 즐거움을 논하고 있다. 잡저 중의 「기요(記要)」는 학문에 필요한 금언들을 모아 자신의 견해를 첨가한 것인데, 특히 심전(心田) 경작으로 간난을 예비할 것과 검소한 생활태도를 역설하였다. 「서벽(書壁)」에서는 검신(檢身)·독서·변시비(辨是非) 등의 방법을 설명한 다음, 글씨는 해정(楷正)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조이추
    창작/발표시기 :
    1917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조병윤, 조병환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형사소송법, 구속 사유 구속 수사하라
    치는 악덕 식품 제조업자는 예외 없이 구속 수사하라." 이 서슬 퍼런 방침이 발표되자 업자들은 긴장하였다. 그러나 종로 피맛골에서 30년째 순대를 파는 이간난 할머니는 이 소식을 모르고 국산 돼지의 내장보다 값이 싼 캐나다산 돼지의 내장을 이용하여 순대를 만들어 팔다가, 정보를 입수하고 들이닥친 한양지방...
  • 어제칙유원량 御製飭諭元良
    관풍정(觀豊亭)은 백성의 풍년을 기원한다는 의미 등이 있다고 하며 그 의미를 되새기라고 하였다. 세자의 나이가 이제 10살이 지났는데 편안하게 생활하면서 간난(艱難)의 어려움이 조금도 없으며, 단지 하는 일이 문안을 드리는 것 이외에는 강학(講學) 뿐이니, 강학을 더욱 힘쓰라고 권하였다. 어제에서는 특히 국왕...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영조(英祖)
    창작/발표시기 :
    1746년(영조 22) 이후
    성격 :
    어제(御製), 교훈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