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진일유고 眞逸遺稿따라서, 『진일유고』는 성간과 그를 둘러싼 조선 초 문인군의 문학사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진일유고』 권1∼3의 시 부문에는 송별시와 산수시·악부가행시·기인시(寄人詩) 등이 많다. 서거정은 그의 시를 두고 ‘고고충담(高古冲澹 : 고상하고 옛 풍취가 있으며 맑고 깨끗함.)’·‘온후아섬(溫厚雅贍...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한시 漢詩대개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근체시 성립 이전, 즉 수대(隋代) 이전의 시를 말한다. 광의로는 『시경』·『초사(楚辭)』까지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태고의 가요에서부터 양한(兩漢), 위·진·남북조의 악부 가행(歌行) 등을 지칭한다. 둘째는 근체시 성립 이후의 근체시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시를 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
-
하곡시초 荷谷詩鈔속보유’에도 53수의 시가 더 실려 있다. 시 가운데 「감우(感遇)」는 『열조시집(列朝詩集)』에 뽑혀 있으나 본집에는 들어 있지 않은 작품이다. 허봉의 시는 가행(歌行)이나 악부풍(樂府風)이 강한 것이 많다. 「낭천염곡(狼川艶曲)」 등의 작품에서는 이별의 슬픔을 곡진히 그려내고 있다. ‘잡저보유’에는 「선산...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허봉(許篈)
- 창작/발표시기 :
- 170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책
- 간행/발행 :
- 허지, 허사규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가은유고 稼隱遺槁있다. 「매시행(賣柴行)」은 7언체의 장편으로, 한양 성문이 열리면 땔나무를 팔기 위해 수많은 나무꾼이 들어와 저자거리를 이루는 풍습을 그린 가행체 풍속시이다. 이 밖에도 「차두공부추우탄(次杜工部秋雨歎)」·「차소릉운(次少陵韻)」·「차두운(次杜韻)」 등 두보(杜甫)의 시를 차운한 것이 많다. 저자의 시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임곤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3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동야집 東埜集있고, 권말에 강태중(姜泰重)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수에 총목(總目)이 있고, 권1∼3은 부(賦) 2편, 시 165수, 가행(歌行) 21수, 권4는 의고(擬古) 9수, 악부(樂府) 19수, 권5는 소 3편, 권6은 서(書) 39편, 권7은 서(序) 9편, 기 14편, 권8은 제발(題跋) 13편, 설 2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양근(金養根)
- 창작/발표시기 :
- 184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4권 6책
- 간행/발행 :
- 김도균, 김하균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
솔암유고 率菴遺稿전국의 명승지를 찾아 서경과 감회를 읊은 것이 많다. 그밖에 사찰의 경관이나 풍정(風情)을 읊은 것, 어촌의 소박한 모습을 그린 것, 목가·전원적인 시들이 있고, 가행체의 장편으로 당시 우마차로 짐을 나르는 풍습을 노래한 「거우가(車牛歌)」도 주목할만하다. 의의와 평가 시의 대체적인 경향을 볼 때 우수나 내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륜
- 창작/발표시기 :
- 1739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이세원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안분당고시 安分堂古詩굶주리는 생활상을 그린 것으로, 깊은 연민의 뜻이 담겨져 있다. 「동우탄(冬雨嘆)」도 어느 산골의 노인이 가난한 생활을 꾸려가는 모습을 그려낸 가행체의 시이다. 「효발수원노중구점(曉發水原路中口占)」·「유선원동(遊仙院洞)」·「효행(曉行)」 등의 기행시에는 여행노정의 감흥이 잘 나타나 있다. 율시에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희보(李希輔)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호계유집 虎溪遺集유사·행장·묘표·묘갈명·읍지·봉안문·상향축문·고묘문(告墓文)·사림통문(士林通文)·사우유찰(師友遺札)·제문·만사(輓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가행(歌行)에 뛰어나 「채미가(採薇歌)」·「학산구조(鶴山九操)」와 같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서(書)는 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정경세(鄭經世)·이경석...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신적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신상하, 신돈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
서계문집 西溪文集명(銘) 4편, 축문 2편, 제문 8편, 애사(哀辭) 1편, 행장 3편, 예설(禮說) 14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축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가행체(歌行體)로 「서계육가(西溪六歌)」와 「옥화육가(玉華六歌)」의 합(合) 12곡(曲)이 있는데, 이는 저자가 광해군의 난정을 피해 은거하고 있을 때 지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득윤
- 창작/발표시기 :
- 1833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이정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