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루 可婁삼국시대 고구려의 부흥운동 당시 상부대상을 역임한 귀족. 활동사항 생몰년 미상. 고구려 말기의 귀족. 상부(上部) 출신의 귀족으로 관등은 태대사자에 해당하는 대상(大相)을 역임했다.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의 부흥운동에 참여하였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671년(문무왕 11)에 유민(遺民)들이 다시 세운 고구려...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상부대상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고구려 부흥운동
- 직업 :
- 귀족
- 분야 :
- 역사/고대사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탄마 가루 (관련어 가루)헬스장이나 체육관에서 사람들이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맨몸 운동을 할 때 손에 하얀 가루를 바르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TV에서 클라이밍 선수가 암벽 등반을 시작하기 전에 손에 하얀 가루를 바른다든지, 야구 선수가 공을 던지기 전에 하얀 주머니를 만지는 모습을 본적이 있으실 텐데요. 이 하얀 가루의...
- 출처 :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
꽃가루와 기생충의 공통점기능에 오작동이 생겼을까? 면역질환이 이토록 광범위하게 확산된 배경을 기생충의 부재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19세기 영국 농부들의 면역계는 애당초 꽃가루를 적으로 인지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랬다면 조절 T세포의 개입도 불필요했을 것이다. 또다시 최초의 질문으로 되돌아간다. 도대체 알레르기는 왜...
-
-
꽃가루 알레르기는 부유함의 상징?꽃가루 알레르기가 처음 기록에 나타난 곳은 1800년대 초 영국 런던이다. 1819년 3월, 존 보스톡(John Bostock)이라는 의사가 런던의사협회에 사례보고서 하나를 냈다. 그는 보고서에서 ‘해마다 6월 중순이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가슴과 눈의 질환’을 새로 발견했다고 썼다. ‘매년 6월 중순을 기점으로 다음과 같은...
-
배나무 병해충 방제이 중에서도 해충 개체군의 발생 밀도와 경제적 중요성을 기준으로 볼 때 반드시 살충제를 살포해야 하는 해충은 점박이응애, 꼬마배나무이, 조팝나무진딧물, 가루깍지벌레류, 잎말이나방류, 복숭아순나방 등 10여 종에 불과하다. 주요 해충은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꼬마배나무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문제가 되었던...
-
양봉 산물의 생산과 이용, 벌화분 꽃가루일반적으로 직경 15∼300㎛ 범위이다. 풍매화의 화분 크기는 14∼45㎛이고, 충매화의 화분은 15∼120㎛로 충매화의 화분이 크다. 봄철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는 대부분 풍매화 화분으로 우리가 식용하는 벌화분과는 구별된다. 벌화분의 생산 1) 양봉장 선정 벌화분은 가공하지 않고 바로 이용하는 천연 식품이므로...
-
-
창가루외사 倉可樓外史이 일어나자 다시 진해에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를 지었다. 저서로 『담정유고』 12권, 『담정총서』 17권, 『한고관외사』, 『창가루외사』 등이 있다. 서지 및 이본 본래 148권 74책인데, 현재 남아있는 것은 122권 61책이다. 전체 서문이나 발문은 없고, 개별 야사 끝에 제후(題後)를...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