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래 (농기구) Spade, 鋤
    가래는 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농기구이다. 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하게 생긴 몸의 끝에 쇠날을 끼워 만든다. 주로, 논을 평평하게 고르거나 갈 때 또는 밭이랑을 만들 때 사용한다. 가래로 흙을 파헤치거나 퍼 옮기는 일은 가래질이라고 부른다. 삽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Spade 가래 (농기구), 鋤
    A spade is a tool primarily for digging or removing earth and fixing soil. Early spades were made of riven wood. After the art of metalworking was discovered, spades were made with sharper tips of metal. Before the introduction of metal spades manual labor was less efficient at moving earth, with...
  • 가래
    가래는 삽처럼 생긴 가랫날에 양 귀퉁이를 새끼끈으로 묶어서 양쪽에서 잡아당기고 나머지 한 사람은 가래손잡이를 붙들고 힘과 방향을 조절한다. 가래를 사용하면 흙을 멀리 던져 보낼 수 있고, 흙을 파올리는 힘든 일도 쉽게 할 수 있다. 이같은 외가래뿐만 아니라 가랫날 2개가 쌍으로 붙은 것을 6명이 달라붙어 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가래 가내(可乃)
    에는 ‘래[鍬]’로, 『천일록(千一錄)』에서는 ‘가내(可乃)’로,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험(杴)’으로 표기되었다. 끝에 쇠날이 달려 있어 ‘가래’, 넓적하다 하여 ‘넙가래’라고도 하였다. 생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한 몸 끝에 말굽쇠 모양의 쇠날을 끼웠다. 몸 양쪽에 구멍을...
    성격 :
    농기구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살포 살포갱이
    내용 지역에 따라 ‘살포갱이(경상남도 영산)·살피(경상북도)·논물광이(강원도 도계)·살보(전라남도)·삽가래(전라남도 보성)·손가래(경상북도)·살보가래(전라남도 강진)’로 불린다. 손바닥만한 날에 비하여 자루는 길어서 2m에 이르는 것도 있다. 남부지방에서는 대나무를 자루로 박아 쓰는 일이 많다. 날의 형태...
    성격 :
    농기구,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재질 :
    대나무
    용도 :
    농업, 수리(水利)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농기구 農器具
    쓰게 되어 농기구는 한갓 소모품의 위치로 떨어져버리고 말았다. 우리네 전통문화의 보금자리였던 농촌은 농업기계화현상에 따라 큰 진통을 겪고 있다고 하겠다...것은 120가지에 이른다. 가는 연장 논밭을 가는 연장에는 따비 · 가래 · 화가래 · 괭이 · 쇠스랑 · 극젱이 · 쟁기 등의 7가지가 있다. 이러한 것들은...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농기구 農機具
    농기구는 우리나라에서 농업이 시작된 이래로 끊임없이 변천했다. 소농경영에 알맞게 인력과 축력(畜力)을 고루 결합한 형태로 발달해왔으며, 철기의 생산은...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① 가는 연장:쟁기·극젱이·따비·가래·쇠스랑, ② 삶는 연장:써레·빈지·나래·곰방메·고무래·발고무래·끙게, ③...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쟁기
    예전에는 농기구를 무기로도 썼기 때문에 두 가지를 같은 말로 적었던 것이다. 잠기는 19세기 초 장기로 바뀌었으며, 오늘날의 쟁기가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이다. 쟁기의 형태는 무척 많아 그 이름만도 60여 가지에 이른다. 이를 비슷한 것끼리 묶어보면 쟁기류 8가지, 보류 13가지, 보습류·극젱이류 12...
    성격 :
    생활용품, 농기구
    유형 :
    물품
    용도 :
    논밭갈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가래나무 추목, Juglans mandshurica
    나무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Juglans mandshurica Maxim. var. mandshurica for. mandshurica’이다. 열매를 반으로 갈랐을 때 농기구가래와 모양이 비슷하다고 하여 ‘가래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알려져 있다. 형태 키는 20m까지 자라며 수피는 회색이고 세로로 길게 갈라진다. 변재는 회백색이고...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가래나무목 > 가래나무과 > 가래나무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산기슭의 양지
    크기 :
    약 18m ~ 20m
    학명 :
    Juglans mandshurica Maxim. var. mandshurica for. mandshurica
  • 가래 pondweed
    개요 외떡잎식물강 택사목 가래가래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Potamogeton distincuts A.Benn.’이다. 잎이 마치 농기구가래처럼 생겼다고 하여 ‘가래’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크기는 약 7cm이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7cm이다. 잎은 물에 뜨는 부수엽과 물에 잠기는 침수엽으로 나눌 수 있다...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택사목 > 가래과 > 가래속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연못, 논
    크기 :
    약 7cm
    학명 :
    Potamogeton distincuts A.Benn.
  • 로이 (농기구) Loy (spade)
    로이(loy)는 물푸레나무속로 만든 길고 무거운 손잡이, 앞면에 좁은 강철판, 단일 발판이 있는 초기 아일랜드의 가래 (농기구)이다. loy라는 단어는 "삽"을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láí(고대 아일랜드어 láige, 원시 켈트어 *laginā)에서 유래되었다. 아일랜드 대기근 이전과 도중에 손으로 쟁기질하는 데 사용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추도 가래섬, 楸島
    면적은 1.643㎢이고, 해안선 길이는 12.0㎞이다. 추도의 후박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45호로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섬의 형상이 자루가 긴 농기구가래처럼 생겨 가래섬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화하면서 추도가 되었다고 한다.일설에는 가래나무가 많이 있었다 하여 부르게 된 지명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지형은 두 개...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1.643㎢, 해안선 길이 12.0㎞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추도리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